위원회 소개 - 걸어온 길

Introduce of KNCU - History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시대를 앞서 더 바람직한 미래를 이끌어왔습니다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is a proactive leader in creating a better future.

시대적 과제에 맞게 사업을 변화시켜가며 문제의 현상보다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왔습니다

By adapting its projects to the challenges of the times, KNCU has always sought to create a better future by addressing the fundamental causes rather than just the symptoms of problems.

1950-60년대 1950s - 1960s

전후 폐허가 된 한국에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대한민국 교육, 과학, 문화, 커뮤니케이션 발전을 위한 기반을 건설했습니다

In the midst of the devastation following the Korean War, KNCU helped lay the found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ducation, science, culture, and communi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1950

한국의 유네스코 가입 Korea’s admission to UNESCO

우리나라는 1950년 6월 14일 제5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55번째 회원국으로 유네스코에 가입했다.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가입은 1991년 유엔에 가입하기 한참 이전에 일로, 우리나라가 국제사회 진출을 위해 처음 두드린 문이 유네스코였다는 점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유네스코에 가입한지 11일만에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말았다. 유네스코는 전쟁이 발발하자 가장 먼저 한국에 도움의 손길을 내민 국제기구 중 하나였다. 평화 구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네스코의 교육 지원은 우리나라가 전쟁의 상처를 딛고 교육체제를 구축하는 데 큰 디딤돌이 되었다. 

On 14 June 1950, at the 5th Session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UNESCO, the Republic of Korea (Korea) joined UNESCO as the Organization’s 55th Member State. Korea’s admission to UNESCO occurred well before its ad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in 1991, making UNESCO the first door Korea knocked on in seeking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fortunately, only 11 days after joining UNESCO, the Korean War broke out, but even in the midst of this terrible war, the Korean government pushed ahead with plans to establish Korea’s National Commission in order to facilitate UNESCO activities in Korea. Thanks to these efforts,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KNCU) was officially founded in 1954. UNESCO was one of the firs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extend a helping hand to Korea in the aftermath of the war. UNESCO’s educational support, aimed at achieving the goal of building peace, became a significant stepping stone for Korea in overcoming the destruction of the war and re-establishing its educational system.

 

195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창립총회 Inaugural Meeting of KNCU

1953년 7월 대통령령 제801호 ‘한국유네스코위원회 설치령’이 공표되었고, 1954년 1월 30일 서울대학교 강당에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창립총회를 가짐으로써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유네스코 활동의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당시 국내 교육, 과학, 문화계를 대표하는 60인의 전문가가 초대위원으로 참여했으며, 초대 위원장에는 김법린 당시 문교부장관, 초대 사무총장에는 정대위 박사가 임명되었다.

In July 1953,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was proclaimed by Presidential Decree No. 801, and on 30 January 1954 the inaugural meeting of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was held in the auditori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arking the official first step of UNESCO activities in Korea. 60 experts representing the fields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meeting as founding members. Kim Beop-rin, then Minister of Education, was appointed as the first Chairman, and Dr. Jung Dae-wee was appointed as the first Secretary-General.

 

국정교과서 인쇄공장 National Textbook Printing Plant

한국전쟁 직후 교육재건 원조의 일환으로, 유네스코가 10만 달러, 유엔한국재건단(UNKRA)이 14만 달러를 지원해 1954년 대한문교서적(후 국정교과서) 인쇄공장이 설립되었다. 이를 통해 전란의 폐허 속에서도 국내 초등학생들에게 교과서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었다.

As part of aid for educational reconstruction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UNESCO provided $100,000 and the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provided $140,000 to establish the Dae Han Mun Gyo Seo Jeok Printing Plant (later the National Textbook Printing Plant) in 1954. This enabled the smooth supply of textbook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despite the devastation of the war.

 

1961

유네스코 쿠폰 가입 Joining the UNESCO Coupons Programme

유네스코 쿠폰은 외화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나라에서 자국 화폐로 외국의 서적과 과학기자재를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국제 이해 및 교류의 차원에서 유네스코가 창안한 국제통화였다. 한국은 1961년 이 제도에 가입해 1980년대까지 국가발전의 매개체로 유네스코 쿠폰을 활발히 활용했다. 90년대 이후에는 경제 성장과 외환거래 자유화에 따라 그 필요성은 점차 줄어들었다.

UNESCO Coupons were an international currency created by UNESCO to facilitat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allowing countries that could not freely use foreign currencies to purchase foreign books and scientific equipment more easily with their own currency. Korea joined this system in 1961 and actively utilized UNESCO Coupons as a means to foster national development until the 1980s. From the 1990s, following Korea’s economic growth and the liberalization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the need for these coupons gradually diminished.

 

1965

유네스코학생회 Korea UNESCO Student Association (KUSA)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한국의 실정에 맞는 생산적이고 자율적인 학생활동과 국제활동을 지원하고자 1965년에 국내 대학 학생회 임원들과 대학신문 기자들을 초청하여 유네스코 하계학교를 개최하였고, 이를 계기로 전국 13개 대학에 유네스코학생회(KUSA)가 조직되었다. 이후 KUSA는 대학생 연합 봉사활동, 조국순례대행진, ‘자각적 탐구와 실천적 참여’를 근간으로 하는 새물결운동 등을 통해 대한민국 청년운동의 새 장을 열었다.

In 1965,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held the UNESCO Summer School, inviting student council members and university newspaper reporters from domestic universities to support productive, independent student activities within Korea, as well as international activities appropriate to Korea’s circumstances at the time. This event led to the organization of branches of the Korea UNESCO Student Association (KUSA) at 13 universities nationwide. The establishment of KUSA began a new chapter in the youth movement in Korea through activities such as joint university student volunteer projects, the Pan-National Student March, and the New Wave Movement based on “conscious inquiry and practical participation.”

 

1970-80년대 1970s - 1980s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학교 교육이 교육의 전부라고 여겨질 때 평생교육의 화두를 제시했고, 경제성장만을 바라보고 있을 때 인간과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발전을 제시하며 더 먼 미래를 바라보고 대비했습니다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introduced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o Korean society at a time when school education was considered the entirety of education. With an eye on the longer-term future, KNCU also made proposals for national development that considered both humans and the environment at a time when the national focus was solely on economic growth.

1970

평생교육 개념 국내 도입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교육을 학교라는 제도 교육의 틀에 한정한 종래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생애 전체과정 속에서 파악하려는 ‘평생교육’의 개념은 유네스코가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 보급한 주요 교육 개념 중 하나다. 1970년 평생교육 개념을 국내에 도입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1972년 유네스코 본부로부터 평생교육 자료를 수집해 번역 및 보급을 시작했으며, 1973년에는 ‘제1차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세미나’ 를 개최하면서 관련 주제에 대한 교육계 및 학계의 논의에도 불을 지폈다. 이후 평생교육의 개념은 사회 각층으로 널리 퍼져 1980년에 개정된 대한민국 헌법에는 세계 최초로 ‘평생교육의 진흥’이 명문화되었으며, 1999년에는 「평생교육법」이 제정되면서 ‘교육사회’를 향한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 

Mov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mindset that limited education to schools,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ims to situate education within the entire life process. The concep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ideas that UNESCO has promoted and disseminated around the world.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played a central role in introducing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o Korea in 1970. In 1972, it began collecting, translating, and distributing lifelong education materials from UNESCO Headquarters, and in 1973, KNCU sparked discussions within Korea’s educational and academic communities by holding the First Seminar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llowing this,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spread widely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and in 1980, the Republic of Korea became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stipulate the promo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its Constitution. In 1999, the enact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marked a significant milestone on the road toward an ‘education society.’

 

1974

조국순례대행진Pan-National Student March

1974년 전국의 대학생 1,5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2주간의 조국순례대행진이 그 첫발을 내디뎠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전국 방방곡곡을 발로 누비며 국토에 대한 애정을 갖고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진행된 이 대장정에는 유네스코학생회(KUSA)를 중심으로 한 대학생들이 참여했다.

In 1974, more than 1,500 university students from across the country took part in the Pan-National Student March, a two-week journey designed to foster the students’ love for the land and understanding of local communities as they traveled to every corner of the nation.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primarily members of the Korea UNESCO Student Association (KUSA).

 

1990-2000년대 1990s - 2000s

전 세계와 활발히 교류하며 국제사회의 중심으로 다가가는 대한민국에 발맞춰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다양한 국가, 문화, 세대와 폭넓게 교류함으로써 상호 이해와 공존의 토대를 튼튼하게 다졌습니다.

Keeping pace with Korea's active exchanges with the world and growing rol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established a solid found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coexistence through engagement with people of diverse cultures and generations in a wide variety of countries.

1990

한국청년해외봉사단 Korea Youth Volunteers

1989년 청년봉사단의 해외파견을 정부에 건의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1990년 10월 수임기관으로 한국청년해외봉사단 제1차 단원 48명을 필리핀, 인도네시아, 네팔, 스리랑카 4개국에 파견했다. 이들은 의료, 직업교육, 지역사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활동을 전개했다. 이 사업은 1991년 정부정책에 따라 신설된 한국국제협력단(KOICA)으로 이관되어, ‘KOICA봉사단’이라는 이름 으로 진행되고 있다.

In 1989,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made a proposal to the government for the dispatch of a Youth Volunteer Corps abroad. As the agency designated to manage the project, in October 1990, KNCU sent the first cohort of 48 members of the Korea Youth Volunteers to four countries: the Philippines, Indonesia, Nepal, and Sri Lanka. These volunteers engag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care, vocational educ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programme was transferred to the newly established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in 1991 as part of government policy and continues under the name ‘KOICA World Friends Korea’.

 

1998

외국인과 함께하는 문화교실(CCAP) Cross Cultural Awareness Programme (CCPA)

외국인과 함께하는 문화교실’은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국내 초중고교를 방문해 자국의 문화와 역사, 생활과 풍습을 소개하는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1998년에 35개 학교를 대상으로 시작된 후 이듬해부터 대상 학교 수를 늘려 연간 90여 개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 수는 30,000명이 넘는다. 2013년부터는 유네스코협회연맹에서 진행하고 있다.

The Cross Cultural Awareness Programme promotes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y arranging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to visit domest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introduce their own country’s culture, history, lifestyle, and customs. The programme was started by KNCU in 1998 with 35 schools and now includes over 90 schools annually. Cumulatively, more than 30,000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gramme, which has been run by the Korean National Federation of UNESCO Clubs and Associations (KNFUCA) since 2013.

 

2001

한일교사대화 UNESCO Korea-Japan Teachers’ Dialogue

한일교사대화는 한-일 교직원 초청연수 프로그램으로서, 2000년 일본 문부성 나카소네 히로후미 장관이 방한하여 문용린 전 교육부장관에게 한일 양국의 우호 증진을 위한 교사교류를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3,100여명의 한-일 교사가 양국의 교육현장을 경험하며 서로의 교육환경, 문화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국의 교육현장에서 평화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확산해왔다.

The UNESCO Korea-Japan Teachers’ Dialogue is an exchange programme for Korean and Japanese teachers. It began in 2000 when Nakasone Hirofumi, then Japanese Minister of Education, visited Korea and proposed a teacher exchange to Myong-Yong Lin, former Korean Minister of Education, to promot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2001, over 3,100 teachers from both countries have participated,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each ot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ultures, develop their mutual understanding and actively promote a culture of peace in their respective educational fields.

 

2009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역량강화 워크숍 UNESCO Memory of the World Training Workshop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역량강화 워크숍’은 우리나라의 주도로 기록유산 보존과 등재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를 대상으로 2009년부터 대륙별로 순회하며 추진해온 사업이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기록유산 분야의 국제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훈련 워크숍을 통해 등재신청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을 돕고 있다.

KNCU initiated the annual UNESCO Memory of the World (MoW) Training Workshop in 2009, to promote the preservation of a diverse range of documentary heritage of world significance by encouraging the registration of such heritage o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ternational Register. The workshops are aimed at countries whose documentary heritage is underrepresented on the register and aim to assist these countries in preparing nominations to the register with advice from international experts on the MoW programme. The workshops also offer opportunities for networking and the sharing of best practices in the field of documentary heritage.

 

2010-20년대 2010s - 2020s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로 인류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을 때,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한발 앞서 우리 사회의 사람과 자원을 모아 보다 바람직한 미래를 맞을 준비를 해 나가고 있습니다.

As issues such as the climate crisis and increasing social inequality lead to growing concern about the sustainability of human societ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is bringing together the people and resources of our society to work towards a better, more sustainable future.

2010

브릿지 사업 Launch of the BRIDGE Programme

전세계에서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성인은 7억 8천만 명이 넘고,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아이들은 2억 4천만 명에 달하며, 우리가 함께 완화해야 할 국제사회의 교육 격차는 여전히 큰 현실이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국제사회의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을 만들고, 교육을 통해 삶과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브릿지 사업을 추진한다. 개발도상국의 학교 밖 교육 소외 계층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현지 교육부의 비형식교육정책 역량을 강화한다. 브릿지 사업은 앞으로도 지속가능발전목표 4번인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며, 가장 소외된 사람들의 교육을 위한 다리가 될 것이다.

Over 780 million adults worldwide are illiterate, and 240 million children are out of school, highlighting the significant educational gap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work together to bridge.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launched the BRIDGE Programme in 2010 and continues to implement it today to promote inclusive education for all, expand opportunities for education in marginalized communities, and transform lives and the world through education. This programme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to those lacking access to form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helps education officials in partner countries to strengthen their capacities to develop and implement non-formal education policies. As a bridge to opportunities for people marginalized from education, the BRIDGE Programme contributes to the achievement of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4: to ensure inclusive and equitable quality education.

 

2009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세계시민교육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세계시민교육(GCED)을 확산하기 위해 국내 유네스코학교, 유네스코평생학습도시 등 유네스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논의의 자리를 마련하며 우수활동 사례를 확산하고 있다. 특히,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을 위해 2009년부터는 관련 부처, 기관 및 전문가와 협력하는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한국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2024년에는 개정된 ‘2023년 평화・인권・국제이해・협력・기본적 자유・세계시민・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권고’의 국내 인식을 제고하고 ‘한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 국가 이니셔티브’ 이행을 촉진하고자 자료를발간하고 의견을 교류하는 콜로퀴엄을 개최한다.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supports educational activities and facilitates discussions to promo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in order to help build a world in which all humans can live harmoniously,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environment. Focusing on UNESCO networks such as UNESCO ASPnet schools and UNESCO lifelong learning cities, KNCU disseminates examples of best practice, and since 2009 has been operating the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other relevant institutions and experts. In 2024, KNCU is publishing materials and holding a colloquium to raise awareness in Korea of the revised 2023 Recommendation on Education for Peace, Human Right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Cooperation, Fundamental Freedoms,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Korea’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30 National Initiative, .

 

2014

유네스코 활동을 위한 민간 후원 본격화 Commencement of Private Donations for UNESCO Activities

대한민국이 6․25전쟁의 잿더미 위에서 복구 사업에 온 힘을 쏟고 있을 때 유네스코는 밥 대신 교과서를 지원해 주었다.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성장한 대한민국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14년부터 선진국 국가위원회로서 지구촌의 어려운 이웃들이 배움의 힘으로 일어서서 희망을 꿈꿀 수 있도록 민간 후원 참여를 본격화했으며, 2024년 창립 70주년을 계기로 3대 주력 사업 방향(미래변화 대처, 교육격차 완화, 사회문화갈등 해소)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When the Republic of Korea was pouring all its efforts into reconstruction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UNESCO supported it with textbooks instead of food aid, looking to the longer-term future. Following Korea’s growth into a developed countr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began an initiative in 2014 to encourage individuals and private-sector companies to donate funds to help others in need by sponsoring educational projects to spread the power of learning and dreams of a better life. On the occasion of its 70th anniversary in 2024, KNCU is expanding the focus areas of these privately-funded activities into three main directions: coping with future changes, closing educational gaps, and resolving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2017

교육2030 Education 2030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중 네번째 목표(SDG4)는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 평생학습’을 다룬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SDG4 국가조정관인 교육부 및 유관기관들과 협력하여 국내 SDG4-교육 2030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SDG4 및 교육변혁 공약에 대한 이행현황과 과제를 점검하고, 국내외 교육격차 문제에 대해 한국이 SDG4 관점에서 대응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연구를 추진하고 정보를 확산하고 있다.

Goal 4 of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focuses on quality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for all.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collaborates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SDG4, and other relevant agencies to manage the national coordination mechanism for work towards SDG4-Education 2030. Through this mechanism, KNCU reviews the progress towards Korea’s achievement of SDG4 and educational transformation, analyzes challenges in making such progress, conducts research, and disseminates information so that Korea can take appropriate 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DG4 to address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concerning educational gaps.

[세액공제문의] 기부금영수증 추가 발급 신청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연초에 우편물을 분실하셨거나, 주소 변경 등으로 제때에 발급받지 못하신 경우, peace@unesco.or.kr로 신청하시면 이메일 또는 팩스로 바로 보내드립니다. 전화 1800-9971로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문의] 세액 공제를 위한 기부금영수증을 우편으로 받을 수 있나요?

예, 가능합니다. 다만, 종이 사용을 줄이고 우편 비용 절감 등을 위해 가급적 이메일 또는 팩스를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근로소득자의 경우,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를 신청하시면 별도의 기부금영수증 발급없이 국세청 홈택스에서 기부금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업소득자의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전 peace@unesco.or.kr 또는 1800-9971​로 신청해주시면 이메일 또는 팩스로 기부금영수증을 보내드립니다. 

[세액공제문의] 세액공제를 위해 국세청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를 이용가능한가요?

예, 가능합니다. 후원 신청 시,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시겠습니까?’ 항목에 주민번호 13자리를 입력하시면 연말에 자동으로 전산처리해드립니다. 기후원 신청자는 후원신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개인정보 수정란에서 미신청을 신청으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문의] 기부시, 세액공제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기획재정부 지정 공익법인(기존 지정기부금단체)으로서, 기부금 세액공제 공제율은 1천만원 이하의 경우 15%를 공제받을 수 있고, 기부금이 1천만원 초과분에 대해 30%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의 30% 한도 내)

기부금은 연말정산 때 공제한도가 초과되어, 공제받지 못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다음해 연말정산으로 이월하여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기부금 세액공제 이월은 최대 10년입니다.

[세액공제문의] 후원자명과 납부자명이 다른 경우

후원금 납부자(예금주 또는 카드주)와 등록된 후원자 명의가 다른 경우 (예: 후원자 명의는 자녀이름으로 등록하고, 납부는 부모 소유 계좌/카드로 등록하셨을 경우), 소득세법에 따라 기부금영수증은 등록된 후원자명과 주민등록번호로 발급이 됩니다. 단, 납부자 명의에 한해 해당 명의로 기부금영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학교후원활동문의] 학교에서 캠페인 진행 시 활용할 포스터 또는 현수막 제작을 위한 자료가 있나요?

학교 나눔 캠페인 진행을 위해 홈페이지 학교후원 자료에 포스터와 현수막 PDF 파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료 다운 받기

[학교후원활동문의] 학교에서 후원을 진행하기 위한 참고 자료나 영상이 있나요?

연초에 보내드리는 ‘드림캠페인 활동 참가 안내’ 공문 또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상단 후원하기 메뉴 중 후원안내 → 학교후원(https://unesco.or.kr/dreamdream)에서 활동 참여 방법을 안내해드리고 있습니다. 위 웹사이트를 통해 자료실에 올라온 ‘캠페인 활동 안내서’, ‘한 권의 기부’, ‘캠페인 현수막 및 로고’ 파일 등의 자료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unescokor)에서도 다양한 유네스코 관련 영상 자료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유네스코와 한국위원회에 대한 설명]

70주년 기념 홍보 영상

한국과 유네스코 “70년의 약속, 평화의 동행”

후원홍보 CF – 배움이 희망이다(60초)

유네스코가 없었다면(60초)

[교육촌 지구나눔 브릿지 프로그램]

 세계문해의 날 기념 지구촌 교육나눔 영상

유네스코 미얀마 (비형식)중학교육 프로젝트

[유네스코 가치 및 이념 관련 영상]

–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의제 소개

인공지능과 문화다양성

[여유강좌 시리즈] 1강(평화에 대한 기본 이해), 2강: 문화다양성과 평화, 3강: 평화와 세계시민, 4강: 지속가능발전과 평화

[학교후원활동문의] 학교 후원 활동인 Dream 드림 캠페인은 어떻게 진행하나요?

Dream 드림 캠페인은 지구촌의 어려운 친구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주는 나눔 활동인 만큼, 활동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나눔가게 운영 및 모금활동 기획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충분히 지구촌 사회가 겪고 있는 공동의 문제 해결을 위해 고민하고 토론하며, 공생 방안을 모색하는 방안으로 캠페인 활동이 이루어지는게 좋습니다. 

학생들 스스로가 더 많이 기획하고 참여한 경우 캠페인의 의미는 더 커집니다.

활동 후에는 활동 내용과 사진을 보내주시면 홈페이지와 유네스코 뉴스에 실어드립니다. 학교를 통해 이루어진 소중한 나눔 활동은 자라는 동안 학생들의  마음에 더 크게 자리잡으리라 기대합니다. 

[학교후원활동문의] 드림캠페인 활동 우수학교 시상은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나요?

우수학교는 캠페인 활동 내용의 내용의 창의성, 헌신도(참여도), 감동성(나눔기여도), 영향력, 협력과 팀워크 등의 기준으로 선정될 예정입니다.

  • 리더십 및 창의성: 후원 활동 중에 학생들이 리더십을 발휘하거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후원 활동의 효과 향상 
  • 헌신도 및 참여도: 학생들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노력하여 학교 후원 프로그램 지원
  • 감동성(나눔기여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나눔을 베풀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후원 활동 구성 및 추진
  • 긍정적인 영향과 결과: 후원 활동이 학생들에게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결과 고려
  • 협력과 팀워크: 후원 활동을 팀원들과의 협력과 팀워크를 통해 성공적으로 목표 수행
[사업일반]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교육나눔사업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유네스코는 유엔의 유일한 교육 분야 전문기구입니다.  ‘교육의 기회는 모든 사람에게 충분하고 평등하게 주어져야 한다’는 유네스코의 이념을 실천하며, 어린이, 청소년 뿐만 아니라 성인까지 교육이 필요한 곳에 교육을 지원합니다. 부모의 교육에 대한 의지는 자녀의 교육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교육은 아이들의 생명을 구하고, 소득을 창출해 생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경제 효과도 가져옵니다. 

개발도상국 교육 지원은 가난의 되물림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자립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며,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교육 전문성을 기반으로 개발도상국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지원 사업에 힘쓰는 이유입니다.

[사업일반] 브릿지 사업은 사업 대상 국가에서는 누가 사업을 운영하나요?

사업 파트너는 주로 대상 국가의 교육부와 유네스코국가위원회입니다. 또한, 현지 국가의 공익 회계감사 기관을 지정해 후원금이 적절하게 사용했는지 감독합니다.
교육부가 참여하는 만큼, 사업의 효과가 지역을 넘어, 국가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업일반] 유네스코와 유니세프의 나눔 사업은 어떻게 다른가요?

유네스코는 유엔 전문기구로서 교육·과학·문화 분야에서 세계 평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 유니세프는 유엔 산하 유엔아동기금으로 전 세계 어린이들의 구호활동에 초첨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 헌장」 제7조와 대한민국 특별법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공직유관단체입니다. “교육의 기회는 모든 사람에게 충분하고 평등하게 주어져야 한다”는 유네스코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교육 소외 지역에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지구촌 교육나눔 사업을 직접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일반]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후원사업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24년도 창립 70주년을 맞아, 더 나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겠다는 의지를 담아 ‘7OGEHTER’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기존의 교육, 문화 후원모금 분야를 [미래변화대처], [교육격차완화], [사회·문화갈등해소]로 재편하고, 우리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대처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을 이행하고자 합니다.
[미래변화대처기금]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전문가 양성, 미래문제 연구 및 해법 제시, 지식 확산을 통한 대처 역량을 키우는데 사용됩니다.
[교육격차완화기금] 누구나 좋은 교육을 받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브릿지 사업을 통한 개도국 교육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미래세대에 세계시민교육 활동을 지원하는 등 국제사회의 교육 발전 협력을 모색하는데 사용됩니다.
[사회문화갈등해소기금] 다양성을 존중하는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이념, 국가, 세대간 갈등 해소를 위한 글로벌 미래세대의 대화를 촉진하고, 유산 및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평화의 문화를 증진하는데 사용됩니다.

[기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친구들에게 직접 책과 학용품을 보내줄 순 없을까요?

공부를 위한 학생들의 필수품인 책과 학용품의 질은 높지는 않지만 대부분을 그 나라에서 생산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물건을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직접 보내면 통관을 위한 관세와 배송비가 물품비보다 더 많이 드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물품을 후원해주시기보다는 후원금을 통해 그 나라에서 필요한 물품을 제작(또는 구입) 할 수 있게 지원하거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편이 더 많은 학생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기타] 제가 보내는 후원금, 어디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 건가요?

후원자님이 보내주시는 후원금의 85~87%는 선택하신 기금분야의 사업을 위해 사용되며, 나머지 13~15%는 후원사업 홍보, 캠페인 발굴 및 후원관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미래변화대처기금] 기후변화, 과학기술의 발달, 경쟁 심화, 인구 증감 등과 같은 사회 변동으로 인한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전문분야 연구를 지원하고, 정책을 마련하는 등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미래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활동에 사용됩니다.
[교육격차완화기금] 차별없이 모두가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발도상국의 교육에서 소외된 이웃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미래세대가 더 나은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도록 교육 프로그램과 활동을 지원합니다.
[사회·문화갈등해소기금] 국가 간 유산 갈등을 비롯해 전쟁, 혐오 등의 충돌과 대립이 고조되는 가운데, 사회 대화를 촉진하고 국가간 교류 및 협력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간 이해를 증진하는 평화촉진 활동에 사용됩니다.

[기타] 국내에도 어려운 사람들이 많은데, 왜 외국 사람들을 도와야 하나요?

유네스코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충돌과 갈등은 서로 다른 문화와 배경에 대한 무지와 오해에서 비롯되며, 평화는 서로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된다는 유네스코 헌장의 정신을 전 지구적 차원에서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민족이나 국가의 경계를 넘어 개개인 모두가 빈곤, 기아, 전쟁 등 지구촌 문제를 없애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세계시민으로서의 윤리적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마음으로 좀 더 많은 분들이 평화로운 지구촌 건설을 위해 아프리카와 아시아 이웃들과 함께 마음을 나눠주시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기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는 후원금을 투명하게 쓰고 있나요? 모집경비는 얼마나 사용하고 있나요?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기부금품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령에 의거하여, 후원금 모집과 사용 결과를 매년 행정안전부에 보고하고, 내·외부의 회계감사를 시행합니다. 웹사이트, 연차보고서 등을 통해서 후원금 사용 내역 또한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후원금의 85~87%는 사업비로 쓰이며, 모집경비는 13~15%로 시민과 학생 대상 세계시민교육 활동과 모금 참여를 위한 국내 캠페인 추진 및 유네스코 활동의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비로 쓰입니다.

[기타] 후원을 중지하는데, 를 계속 받을 수 있나요?

지면으로 월간 발간되어온 <유네스코 뉴스>는 2024년 1월부터 이메일 뉴스레터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후원 여부와 상관없이 이메일을 통해 뉴스레터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서 개최하는 관련 행사 및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유네스코뉴스> 뉴스레터 발송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구독 취소시까지
  • 개인정보 제공 거부에 따른 제한 사항 : <유네스코뉴스> 뉴스레터 구독서비스 이용불가

※ 수집되는 개인정보는 상기 수집·이용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하지 않으며, 발송대행업체를 제외한 제 3자에게는 구독자 동의 없이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