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전 세계 33개 학교가 참여해 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가 출범한 뒤, 한국에서는 1961년에 4개 중·고등학교가 ‘유네스코 협동학교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유네스코학교 활동을 시작했다. 그로부터 올해까지 60년 간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큰 발전을 해 온 국내 유네스코학교의 역사를 연표 형식으로 소개한다.
1960
제1차 유네스코 전국연구대회
1961
4개 중고등학교 유네스코학교 활동 시작(당시 명칭은 유네스코 협동학교계획)
서울사대부고, 서울사대부중, 이대부고, 숙명여고
1962
제1차 유네스코학교 연구협의회(6.18~22 숙명여중고)
1966
유네스코 협동학교사업(ASP) 학생클럽 지도를 위한 세미나(1.11~15 중앙교육연구소)
1971
유네스코 국제이해교육 아시아지역회의(10.18~23 서울)
1981
- 제12차 유네스코학교 연구협의회(1.12~14, 유네스코청년원)
- 아시아지역 ASP 세미나(10.27~31, 서울)
1983
- 제14차 유네스코학교 연구협의회(7.22,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유네스코학교 담당자 연수협의회
- 유네스코학교 계획 30주년 기념 세계대회 참가(9.12~16, 불가리아 소피아)
1984
국제이해교육토론대회
1986
유네스코학교 교장협의회(5.29)
1993
유네스코학교 사업 40주년 기념 세미나(11.25~26 , 유네스코 청년원)
1995
- 유네스코학교 교사 연수회(12.7~8 유네스코 청년원)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국제이해교육센터로 지정됨
- 아태지역 평화, 인권, 민주주의 교육 전문가 네트워크 창립회의
1997
국제이해교육 교원연수(1997~)
1998
- 유네스코학교 프로젝트 네트워크(약어: ASPnet)라는 명칭 처음 사용
- 외국인과 함께하는 문화교실 사업 시작
2000
-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개원 기념 심포지엄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창립 • 『국제이해교육연구』 창간호 발간
2001
한일교사대화 한국 교직원 방일교원연수 시작
2003
- 유네스코학교 네트워크 50주년 기념 국가 포럼 개최(8.21~22 충북 청주)
- 유네스코학교 교사 교류(11.12~16 서울, 경주, 안동, 포항)
필리핀, 인도네시아 교사 12명 한국 방문
2010
- 한일교직원교류 10주년 기념 한일교사포럼
- 유네스코 레인보우 청소년 세계시민프로젝트 시작
- 2010 지속가능 미래를 위한 모의 유네스코 총회 제1~3차 회의
- 유네스코학교 아이티 교육재건 지원(3.27~5.24)
2011
일본 동북지방 대지진 유네스코학교 교육재건모금 및 메시지 전달(3.31-5.30)
2012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 군내초등학교 방문
2013
유네스코학교 네트워크 60주년 기념 국제포럼(수원)
(유네스코학교 전략 및 실행계획 채택)
2015
- 유네스코 세계시민학교 개교(7.7) • 유네스코 Dream 드림 캠페인
2019
- 유네스코학교 활동 지침 제정
- 시도교육청 유네스코학교 담당자 역량강화 연수
- 제3차 동북아 ASPnet 국가조정관회의
2020
- 레인보우 프로젝트를 평화 프로젝트로 개편
- 대한민국 유네스코 가입 70주년 기념 청소년 평화 캠프(11.7~15/온라인)
- 청소년 영상공모전
- 한일교사대화 20주년 기념식 개최 및 20년사 발간
2021
- 유네스코학교 온라인 총회
- 평화열전 쓰기 공모전 • 우리 안의 다양성 프로그램
- 유네스코본부와 공동으로 스펀지 캠페인 • 한국-독일 학교교류
- 온라인 교사 연수(세계시민을 만나다, 여기는 유네스코학교)
- 한일교직원 온라인 교류 프로그램 및 한일 공동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