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및 보육에 관한 글로벌 보고서: 탄탄한 기초를 위한 권리 (Global report on early childhhood care and education: the right to strong foundation)
2024년도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공식 프로젝트 인증제 연장 심사 결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한국 사회에서 실천되고 있는 다양한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이하 ESD) 사례를 발굴해 널리 알림으로써, 구체적인 ESD 실천 방법을 국내에 보급하고 한국형 ESD 모델을 개발해 국제사회에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2011년부터 ‘유네스코 ESD 공식프로젝트 인증제’(Korean UNESCO ESD Official Project, 이하 ESD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도 ESD 인증제 유효기간 연장 신청 접수 및 심사는 지난 5월부터 […]
함께 해요 세계 인구의 날!😊
‘삼둥이’ 가족도, 비혼족도, 함께 행복해지는 방법🍀 얼마 전 인기 방송프로그램 ‘유퀴즈’에 오랜만에 ‘슈돌’의 삼둥이들과 송일국 배우가 나왔는데, 혹시 보셨나요? 온 국민의 사랑을 받았던 대한, 민국, 만세 형제가 어느새 훌쩍 자란 모습이 대견하기도 하고, 그걸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해서 입이 찢어질 듯 웃기도 했는데요. 그중에서도 기억에 남는 건 송일국 배우의 인터뷰였어요. 송일국 배우는 2016년 이후 오랫동안 작품 […]
<세바시 X 유네스코 토크>에 초대합니다
“저출생 시대의 현실적 유토피아를 함께 상상해주세요!”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가 함께 하는 <세바시 x 유네스코 토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한국의 출산율이 0.6대를 기록한 가운데, 최근 저출생 현상을 둘러싸고 ‘국가 소멸’, ‘위기’, ‘비상’ 등의 단어들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는 저출생을 문제로만 인식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묻는 방식의 접근보다는 ‘공동선(common good)’의 관점에서 저출생을 바라봅니다.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일교사대화: 2024 일본교직원 한국 초청연수 프로그램” 개최
일본 초·중·고·특수학교 교직원 등 50인, 한-일 교사 교류를 통한 평화 확산 및 미래교육 모색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한경구)가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이주호) 후원과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 협력으로 “한일교사대화: 2024 일본교직원 한국 초청연수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한일교사대화”는 대한민국 교육부와 일본 문부과학성의 후원으로 2001년부터 이어진 한국-일본 교사 교류 사업으로, 지난 24년간 양국 교직원 3,200여명이 참여했다. 올해는 일본 초·중·고·특수학교 교직원 등 50인이 […]
백 년 만의 파리 하계올림픽을 맞이하며
올림픽을 준비하는 파리 현장에서 주재관이 전하는 생생한 이야기
전해져야만 하는 이야기들
세상의 진실 지킴이들을 응원하는 유네스코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관용과 비폭력 진흥상’ 후보 공모
UNESCO-Madanjeet Singh Prize for the Promotion of Tolerance and Non-Violence 유네스코는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관용과 비폭력 진흥상’ 후보자를 추천 받습니다. 마하트마 간디 탄생 125주년과 ‘세계 관용의 해’를 기념하여 1995년에 제정된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관용과 비폭력 진흥상은 과학·예술·문화·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관용과 비폭력 정신 고양에 이바지한 노력을 기리기 위하여 개인, 기관, 비정부기구에 수여됩니다. 1. 추천 대상: 관용과 비폭력 정신 고양에 이바지한 […]
카카오 같이가치 모금후기
“학교가 없어지고 마실 물도 없어요.” 2023년 2월 21일 초대형 사이클론 프레디가 말라위를 할퀴고 지나갑니다. 말라위를 횡단하며 빠르게 지나갔던 과거 사이클론들과는 달리, 프레디는 북상 후 다시 남하하여 말라위 전 국토에 큰 피해를 남깁니다. 그 중에서도 말라위 사람들을 망연자실하게 한 것은 나라의 근간이 되는 교육 인프라의 파괴였습니다. 437개 학교가 파손되었고, 307명의 교사들이 죽거나 다치고, 이재민이 되었습니다. 교사 […]
창녕, 우리나라 10번째 생물권보전지역 되다
7월 1일-5일 모로코 아가디르에서 열린 ‘제36차 인간과 생물권 사업 국제조정이사회’(MAB-ICC)에서 우리나라가 신청한 창녕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창녕에 위치한 우포늪은 국내 최대 내륙습지로 큰기러기, 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등의 월동지이자 철새 이동경로에 중요한 곳이다. 또한 이곳에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자 한반도에서 멸종되었던 따오기를 복원하여 야생방사를 이루기도 했다. 우포늪과 억새 군락지로 알려진 화왕산이 창녕 생물권보전지역의 핵심구역이며, 창녕군 전역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번에 창녕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