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in 2018 (A year in snapshots )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367747?posInSet=1&queryId=4f9fa04d-9a4b-42e4-807c-6334082c5b13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학생들의 능력 강화: 중등학교에서 정직을 가르치기 위한 핸드북 (Empowering students for just societies: a handbook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2019년도 세계교육현황 모니터링 보고서: 성평등 보고서: 성평등을 위한 다리놓기 (Global education monitoring report 2019: gender report: Building bridges for gender equality (ara))
Bridge Zambia Project Report (from 2010 to 2019)
International Symposium on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2018 UNESCO Strategy Research Project “The Republic of Korea’s Vision in Relation to UNESCO in a Changing World Order”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외교부의 지원으로 진행한 2018 유네스코 전략 연구 “변화의 시대 한국의 유네스코 협력 비전”의 영문 보고서
2020 유네스코 글로벌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주간(Globla MIL Week) 대표회의 공동개최 대학 공모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국가위원회로서 1954년 설립 이후, 교육, 과학, 문화, 커뮤니케이션 등 유네스코 활동 분야에서 다양한 국내외 사업을 펼쳐 왔습니다. 특히,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미디어정보리터러시(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IL)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고 국민의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지난 해 11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언론진흥재단, 시청자미디어재단,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와 공동으로 ‘2018 미디어정보리터러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또한, 올해 11월에는 2018년 심포지엄 […]
송태진 작가 『아프리카, 좋으니까』 판매 수익금 기부
케냐에서 TV 프로듀서로 활동 중인 송태진 작가가 현지에서의 경험담을 담아 출간한 단행본『아프리카, 좋으니까』의 판매 수익금을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 기부했다. 지난 5월 28일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에서 열린 전달식에서 김광호 사무총장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후원모금을 시작한 이래 인세를 기부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좋은 모범사례가 될 것 같다”며 감사를 표했다. 송 작가는 “평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활동에 관심을 갖고 지켜봐왔다”면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후원사업에 대한 신뢰가 […]
강원 생태평화·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및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확대
6월 17일-21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31차 인간과 생물권 사업 국제조정이사회’(MAB-ICC)에서 ‘강원 생태평화’와 ‘연천 임진강’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DMZ와 맞닿아 있는 두 생물권보전지역은 재두루미 등 철새 서식지이자 백두대간 생태계와 연계하여 보전 가치가 뛰어나다는 점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협력 잠재력 등을 높이 평가 받았다. 2002년에 한라산과 서귀포 앞바다 섬 등으로 지정된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은 이번에 곶자왈과 오름 […]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6월 10일 명동 유네스코회관 11층 유네스코홀에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김광호)를 비롯,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4개 부처 산하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박혜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 시청자미디어재단(이사장 신태섭),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과 민간단체인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이사장 변해원) 등 6개 기관 및 단체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인 유은혜 유네스코한국위원장이 참석해 축사를 했다. 이들 기관과 단체는 국민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