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외교부와 공동으로 지난해 11월 28일 반얀트리 서울 회의장에서 국내 유네스코 전문가 및 관계자를 초청해 ‘2023 유네스코 라운드 테이블’을 열었다. 2024년 한국의 유네스코 주력 활동방향을 모색해 본 이번 행사의 주요 결과를 소개한다.
한 해의 성과를 정리하고 다음 해 계획을 모색하는 일은 자칫 의례적인 연례행사로 느껴질 수도 있지만, 2024년을 맞이하면서 준비한 이번 라운드 테이블은 여러모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이하 한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활동을 구상하는 데 의미가 있는 행사였다. 올해로 창립 70주년을 맞아 유네스코 활동을 일신하고자 하는 한위로서는 미국의 유네스코 무대 복귀 등 다양한 변화가 산적해 있는 국내·외 상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 조언이 담긴 전문가들의 한 마디 한 마디가 모두 ‘방향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1월 28일 오전 한경구 한위 사무총장의 개회사와 함께 시작된 라운드 테이블은 이경아 외교부 공공문화외교국장의 환영사, 앤서니 크와쿠 오헤멩-보아마(Anthony Kwaku Ohemeng-Boamah) 유네스코 본부 아프리카·대외협력 부문 사무총장보(ADG/PAX)의 온라인 축사가 이어지며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어서 이번 행사에 참석한 국내 유네스코 전문가 80여 명은 특별 좌담회와 각 분야별로 마련된 오후 세션에서 열띤 토론과 협의를 이어가며 한위와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활동에 애정과 관심을 표명했다.
먼저 ‘한국의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활동을 위한 유네스코 활용 방향’을 주제로 유네스코 및 유엔 관련 고위급 인사들의 고견을 청해 듣기 위해 마련한 ‘특별 좌담회’가 열렸다.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안호영 전 주미대사, 오준 전 유엔대사, 홍승목 전 네팔대사가 참석한 특별 좌담회는 유네스코에 대한 뛰어난 식견을 지닌 고위급 인사들의 혜안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연사들은 한국이 이제 선진국으로 거듭난 만큼, ‘한국의 국익이 곧 세계의 이익이며, 세계의 이익이 곧 한국의 국익’이라는 생각으로 유네스코 안에서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를 구현하는 데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2023년 유네스코의 가장 큰 뉴스라고도 할 수 있는 미국의 유네스코 재가입과 관련된 조언도 이어졌다. 지난해 7월 미국이 유네스코에 공식 재가입하면서, 한국은 유네스코 안에서 미국을 비롯한 책임 있는 유사입장국가들(like-minded countries)과 연대하여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동시에 유네스코의 이상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소다자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조언이 있었다. 또한 연사들은 한국이 유네스코가 이끄는 ‘지적·도덕적 연대’의 글로벌 거버넌스를 유네스코와 함께 추동하는 책임 있는 회원국으로 거듭나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인류의 보편 가치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의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한목소리로 주문했다.
특별 좌담회에 이어 진행된 오후 세션은 유네스코의 교육·과학·문화·정보커뮤니케이션 각 분야의 이슈를 주제로 한위가 해마다 발간하고 있는 「유네스코 이슈 브리프」의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지난해 한위는 ‘코로나19 대응으로서의 원격교육 확대와 국제협력’, ‘유네스코 「인공지능 윤리 권고」 이행과 국제협력’, ‘평화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세계유산 해석’, ‘생성형AI 시대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과제검토’를 각 부문별 주요 이슈로 다룬 바 있다. 참석자들은 해당 이슈들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제시하면서 활발한 상호 토론도 진행했다.
2024년 한국의 유네스코 주력 활동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된 이번 ‘2023 유네스코 라운드테이블’은 고위급 인사들의 굵직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방향 제시, 각 분야 전문가들의 구체적인 정책 토론이 어우러지면서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더불어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전문가들의 한위와 유네스코에 대한 각별한 관심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2024년에도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의 전문 분야 안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과 함께 한국의 유네스코 활동을 지원하는 아이디어의 실험실이자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백영연 유네스코의제정책센터 선임전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