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과 ‘절충’ 사이서 팽팽한 줄다리기
유네스코의 다음 회기(2016-2017) 예산 규모를 두고 회원국 간 논의가 본격화됐다. 지난 10월 20일부터 31일까지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195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는 다음 회기 사무국의 예산 편성 규모에 대한 세 가지 안을 놓고 이사국들의 다양한 주장이 표출됐다.
미국 및 이스라엘의 분담금 미지급으로 인해 재정적인 압박을 받고 있는 유네스코는 현 회기 실행 예산이 당초 6억 5800만 달러에서 5억 700만 달러로 대폭 삭감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사업의 질과 사무국 직원들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예산 증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과, ‘사무국의 적극적인 개혁을 통해 예산 등 동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예산 책정안은 총 세 가지로, 인플레이션과 법적비용 등만 최소한으로 반영하자는 안(무실질성장안), 금액 자체를 동결하자는 안(무명목성장안), 그 둘의 중간치를 산정해 반영하자는 안(절충안)이 그것이다. 사무국 및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와 일부 유럽 국가들은 절충안을 지지하는 반면 한국과 일본, 스웨덴 등의 국가들은 무명목성장안을 지지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예산 증대보다는 조직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개혁이 더욱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조직의 개혁에 대해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유네스코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연착륙했다”며 “앞으로 사업 이행의 질을 높이기 위해 모니터링 및 평가 기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