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차 인간과 생물권 계획(MAB) 국제조정이사회가 6월 10일에 시작해 13일 까지 스웨덴 욘쇄핑에서 열리고 있다.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등 MAB 주요 사항을 논의하는 이사회는 유네스코 34개 회원국으로 이뤄지며 매년 상반기에 유네스코 본부와 회원국을 번갈아가며 열린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은 자연자원과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면서 지속가능한 이용을 촉진하는, 즉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제도로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 2000년에 94개국 391곳이었던 생물권보전지역은 2013년 117개국에 621곳으로 늘어나 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한 회원국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생물권보전지역 신청지는 총 29곳으로 이사회는 6월 11일과 12일에 걸쳐 검토하여 이중 13곳을 승인했다.
13곳 중 북한의 칠보산도 포함되어 있다. 신생대 4기 초기에 화산 분출로 생성된 곳으로 한국 고유식물 16종이 서식하고 30종의 국가적, 세계적 멸종위기 동‧식물이 분포하는 생물다양성 보전 가치가 뛰어난 곳으로 백두산(1989년), 구월산(2004년), 묘향산(2009년)에 이어 북한의 4번째 생물권보전지역이 되었다. 하지만 칠보산 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한 관리계획을 제출하지 않아 1년 안에 수립해서 보고해야 한다.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공동으로 신청한 몽비소 지역과 알바니아와 전유고연방이 신청한 오리드 프레스파 지역은 접경생물권보전지역으로 승인 받았고, 국가간 협력사례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로서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은 14곳으로 늘었고, 대부분이 유럽에 있으나 중남미와 아프리카로 확대되고 있다.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인접 국가가 협력하면서 지역의 평화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반면 알제리는 신청한 3곳 모두 반려 권고를 받았고 생물권보전지역 용도구역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유네스코의 자문을 구하라는 추가 권고를 받았다. 중국, 파키스탄 등 반려된 다른 곳들도 생물권보전지역의 보전과 발전 기능 수행을 위해 핵심, 완충, 전이지역을 구비해야 하는데 이를 충족하지 못해서 용도구역을 조정하고 다시 신청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한편 생물권보전지역의 모범사례로 거론되는 독일의 뢴은 생물권보전지역 주변의 주민들이 생물권보전지역에 포함되길 원하여 원래 면적보다 1/3이 더 늘어난 곳을 확장신청하여 승인 받았다. 생태관광, 농업이 주로 이뤄지는 이 지역은 생물권보전지역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핵심지역으로 이뤄진 1세대 생물권보전지역들은 출구전략에 따라 용도구역을 제대로 갖출 것을 권고 받고 있는데 1980년에 지정된 일본의 시가하이랜드도 주변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협조를 얻어 전이지역을 확장 신청하여 승인받았다. 하지만 핵심지역 주변의 모든 지자체가 참여하지 않아 핵심지역 보전에 대한 문제제기도 있었으나 지역주민의 참여를 얻기 시작한 것에 많은 이사국들이 의미를 두고 승인을 했다.
반면 지역주민들이 생물권보전지역의 혜택에 관심이 없어 확장에 동의하지 않아 오스트리아는 1977년에 지정된 고센쾰레세와 구글러캄 등 두 곳을 철회했고, 한 곳은 주민들과 협력하여 확장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영국도 1곳을 철회하였다.
이번 이사회의 결정으로 현재 세계 생물권보전지역은 119개국 631곳이며 이중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은 14곳이다. 알바니아와 전유고연방은 처음으로 생물권보전지역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2013년까지 MAB의 활동지침이었던 마드리드행동계획 실행에 대한 평가와 함께 2014-2021 전략을 논의했다. MAB 사업의 가시성 향상,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자들의 역량강화가 강조되었고 간결한 메시지를 담은 전략 수립의 필요성에 많은 이사국들이 동의했다.
우리나라는 첫날 국가 보고서 발표에서 국내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구축, 생물권보전지역 간 자매결연, 유네스코학교 생물권보전지역 사업 등의 활동을 소개하고 올해 하반기에 열릴 아태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자 역량강화 워크숍에 대해 안내하여 회원국들의 참여를 독려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동북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EABRN)와 제주도가 사무국을 맡고 있는 세계 섬‧연안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활동도 보고했다.
이사회는 오늘 오후 최종보고서를 채택하고 다음 이사회 일정을 논의하고 4일 간의 일정을 마무리한다.
과학팀장 김은영
신규 생물권보전지역 목록: http://goo.gl/h8my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