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Journal 2014년 여름호(54권 2호)가 발간되었다. 이번 호에는 지난 2년간 Korea Journal에 투고된 논문 가운데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일곱 편의 논문과 두 편의 서평이 실렸다.
설동훈, 서정민의 논문은 한국이 세계화와 민주화 과정을 거치며 부상된 소수민족 및 사회적 약자들이, 한국사회에서 배제 혹은 포섭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강희정의 논문은 일제시대에 한국인이 동남아시아를 바라보던 시선을 살펴보고 이를 ‘또 하나의 오리엔탈리즘’으로 진단한다.
김종명의 논문은 유학이 지배이념이었던 조선시대에, 불교 옹호 정책을 펼치고 불교 사상을 국정운영에 반영한 문정왕후의 수렴청정 정치가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본다.
김윤희의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알바(alba) 장르 문학의 차이점을 살펴보며, 한국의 고전 문학에 드러난 한국 특유의 알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임상석의 논문은 실학파 유길준의 저서 『서유견문』이 국문과 한자 병기체인 국한문의 발전에 기여한 바를 살펴보며, 문체와 내용 분석을 통해 『서유견문』이 비슷한 시기에 집필된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의 단순 번역판이라는 주장을 반박한다.
이승희, 제인 E. 워크맨의 논문은 소비자가 속한 문화권에 따라 명품소비행태가 달라진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국의 명품 소비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우도 모닉, 조성균, 곽태용의 논문은 해방 직후 한국에서 출판된 태권도 교본과 일본의 가라데 교본을 비교∙분석하여, 태권도의 뿌리가 가라데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밖에도 한국 시민사회의 등장과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신흥세력으로 부상하게 된 사회적 배경을 다룬 김혁래의 『State-centric to Contested Social Governance in Korea: Shifting Power』와 조선시대 신유교사상의 도덕적 형이상학에 대한 성리학적 논쟁의 근원을 살펴본 이승환의 『횡설과 수설: 성리논쟁에 대한 언어 분석적 해명』의 서평이 실렸다.
이번 호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연구논문
Dong-Hoon SEOL and Jungmin SEO
Dynamics of Ethnic Nationalism and Hierarchical Nationhood: Korean Nation and Its Othernesss since the Late 1980s
Heejung KANG
Another Form of Orientalism: Koreans’ Consciousness of Southeast Asi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ongmyung KIM
Queen Munjeong’s (1501-1565) Statecraft and Buddhist View in Confucian Joseon
Yun-hee KIM
Examining the Alba Literary Style in Korean Classical Poetry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ese Literature
LIM Sang-Seok
A Comparative Study of Gukhanmun Style in Seoyu Gyeonmun and Mixed Style in Seiyo jijo: On the Formation of Gukhanmun Style in Korea
Seung-Hee LEE and Jane E. WORKMAN
Factors Affecting Korean Consumers’ Brand Consciousness to Global Luxury Brands
Udo MOENIG, Sungkyun CHO, and Taek-Yong KWAK
Evidence of Taekwondo’s Roots in Karate: An Analysis of the Technical Content of Early Taekwondo Literature
서평
Jangsup CHOI
State-centric to Contested Social Governance in Korea: Shifting Power. By Hyuk-Rae Kim
HONG Seong-Min
Hoengseol-gwa suseol: seongni nonjaeng-e daehan eoneo bunseokjeok haemyeong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Linguistic Analytic Elucidation of Neo-Confucian Debates). By Lee Seung-Hwan
알바(alba)란 ‘흰 빛’이라는 뜻의 라틴어 albus에서 유래한 말로, 프랑스 지방말로는 ‘새벽’을 뜻한다. 금지된 사랑으로 인한 결별이 가져다 주는 슬픔을 다루거나, 새벽이 되면 떠나야 하는 연인 간의 아쉬움과 애틋함을 표현하는 문학 장르를 알바라고 부르기도 한다.
Korea Journal 웹사이트: http://www.ekoreajourna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