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Journal 2013년 겨울호가 발간되었다. 이번 호는 “K-팝 현상과 한류의 이해”라는 주제의 특집으로 구성되었다.
K-팝으로 불리는 한국의 대중 음악은 최근 전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 청소년과 젊은이들 사이에 가장 인기있는 대중문화 장르로 성장하면서 한류의 가장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다. 그런데 그 동안 한류에 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하나의 중요한 현상으로 자리잡은 K-팝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아직까지는 상당히 저조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구성된 이번 특집에는 학문적 관점에서 K-팝의 성공 원인과 영향을 살펴보고 문화현상과 산업으로서의 K-팝을 조명한 논문들을 실었다.
첫 번째 논문은 K-팝 아티스트 양성 체계 및 세계화 전략을 SM 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두 번째 논문은 K-팝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스미디어 기술과 음악 장르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유튜브와 K-팝 열풍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다. 세 번째 논문은 일본과 인도네시아어 여성 K-팝 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두 나라 K-팝 팬들의 행동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네 번째 논문은 K-팝의 성공 요인을 다각도로 살펴본다.
이번 호에는 이 밖에도 Korea Journal에 투고된 논문 가운데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세 편의 연구 논문과 한 편의 서평이 실렸다.
이번 호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특집: Understanding the K-pop Phenomenon and Hallyu
Gil-Sung PARK / [On this topic] From Fragile Cosmopolitanism to Sustainable Multicultural Vigor
Gil-Sung PARK / Manufacturing Creativity: Production, Performance, and Dissemination of K-pop
Ingyu OH and Hyo-Jung LEE / Mass Media Technologies and Popular Music Genres: K-pop and YouTube
Andrew Eungi KIM, Fitria MAYASARI, and Ingyu OH / When Tourist Audiences Encounter Each Other: Diverging Learning Behaviors of K-pop Fans from Japan and Indonesia
Wonho JANG and Youngsun KIM / Envisaging the Sociocultural Dynamics of K-pop: Time/Space Hybridity, Red Queen’s Race, and Cosmopolitan Striving
연구논문
Chisung PARK, Mark WILDING, and Sung-Jun MYUNG / Online Learning Patterns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U.S. Beef Imports in Korea: A Comparison of Three Online Communities
Don BAKER / Rhetoric, Ritual, and Political Legitimacy: Justifying Yi Seong-gye’s Ascension to the Throne
LEE Kyou Jin and CHO Mi Sook / The Evolution of Bulgogi over the Past 100 Years
서평
Aie-Rie LEE / South Korean Social Movements: From Democracy to Civil Society, edited by Gi-Wook Shin and Paul Y. Ch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