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유네스코-적도기니 국제 생명과학 연구상 후보 공모(UNESCO-Equatorial Guinea International Prize for Research in the Life Sciences)
유네스코는 생명과학연구를 통해 인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 기관을 선정하여 매년 ‘유네스코-적도기니 국제생명과학 연구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후보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은 지원 바랍니다. 1. 상 개요 가. 목적: 생명과학연구를 통해 인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 기관의 업적 및 활동에 대해 시상 나. 수상자 특전: […]
유네스코한국위원회-세븐틴, 지속가능한 ‘교육의 미래’ 위해 청년들의 참여와 관심 독려하는 글로벌 캠페인 “고잉투게더(Going Together)” 론칭
글로벌 해시태그 캠페인 통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청년 참여 독려세븐틴 전체 멤버 참여하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업무 협약식 열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한경구)는 그룹 세븐틴(에스쿱스, 정한, 조슈아, 준, 호시, 원우, 우지, 디에잇, 민규, 도겸, 승관, 버논, 디노)과 지속가능한 ‘교육의 미래’에 대한 청년 참여와 관심을 독려하기 위한 고잉투게더(#GoingTogether) 글로벌 캠페인 진행 등 교육 분야 […]
한반도 세계시민 워크숍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경기도교육청은 7월 9일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11층 유네스코홀에서 ‘한반도 세계시민 워크숍’을 개최했다. 분단 상황 속에서 다문화 사회로 변해가는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교육 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과 평화·통일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워크숍에서는 정병호 명예교수(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와 김명신 선임전문관(유네스코한국위원회), 김병연 교사(양재고등학교)의 강의와 더불어 26명의 초·중·고 교사 간 토론 등이 진행됐다. 참가 교사들은 학교 […]
세계 기념일ㅣ세계 노예무역 철폐 기념의 날(8월 23일)
유네스코는 노예제도와 노예무역의 잔혹성을 알리기 위해 대서양 노예무역 폐지의 발화점이 된 산토도밍고 노예 봉기가 일어난 8월 23일을 ‘세계 노예무역 철폐 기념의 날’로 제정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노예제도를 중심으로 한 잔혹한 인권 유린의 역사를 성찰하기 위해 1994년부터 ‘유네스코 노예의 길 사업’(The Slave Route Project)도 시행해 왔습니다. 올해 세계 노예무역 철폐 기념의 날의 주제는 ‘용기의 이야기: 노예제도에 대한 […]
2022 국제보호지역 관리자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연천군 및 MAB한국위원회와 공동으로 8월 30일부터 9월 2일까지 ‘2022 국제보호지역 관리자 역량강화 워크숍’을 온·오프라인으로 병행 개최한다. 2019년과 2021년에 이어 올해 3회째를 맞는 이번 워크숍은 ▲국제보호지역의 해설과 교육 ▲국제보호지역의 정체성과 브랜드 활용 ▲국제보호지역의 관리와 지역사회 참여 등 3가지 ‘국제보호지역 관리 과제’를 중심으로 각 주제별 기조강연 및 사례발표, 패널 토론으로 구성된다. 전 세계 국제보호지역 관리자들이 참여하는 […]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50주년 기념 비누 판매 개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인기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한아조’와 손잡고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50주년 기념 비누를 만들어 판매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첫 세계유산인 종묘, 해인사 장경판전, 그리고 석굴암과 불국사를 모티브로 해 만든 천연 비누 세트 3종은 한아조 홈페이지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비누 판매 수익금 일부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세계유산 분야 사업에 쓰일 예정이다. ‘한아조x유네스코한국위원회 비누’ 보러가기
제3차 한-유네스코 신탁기금 고위급 회의 개최
‘제3차 한-유네스코 신탁기금 고위급 회의’가 7월 4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화상회의를 병행해 열렸다. 회의에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를 비롯해 외교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국내 기관 관계자와 유네스코 전략기획국장,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과학 사무총장보 등이 참석해 한국과 유네스코 간 신탁기금 분야 협력의 우선순위 분야를 확인하고 향후 협력 확대를 위한 정책 대화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은 새 정부의 […]
2022년도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 프로젝트 인증제 공모 결과 발표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2022년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 프로젝트 인증제(ESD 인증제) 공모 결과를 발표했다. 25개 프로젝트가 새로 인증을 받고 기존 프로젝트 중 16개가 재인증을 받음으로써 8월 현재 유효한 ESD 공식프로젝트는 총 84개가 됐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한국 사회에서 실천 중인 다양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를 발굴해 구체적인 ESD 실천 전략을 보급하고 한국형 ESD 모델을 국제사회에 소개하기 위해 2011년부터 ESD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
끝이 어딜까, 한국 여성 과학자의 잠재력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 국내 최고 권위의 여성 과학자상으로 꼽히는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이 7월 5일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개최됐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년기자단은 과학청년팀과 함께 시상식장을 찾아 한국 과학계를 이끌 여성 과학자들의 활약상을 보고 왔다. 1998년부터 과학의 발전에 세계적인 기여를 한 여성 과학자들에게 시상해 온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과 별개로, 한국에서는 2002년부터 로레알코리아와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주관으로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이 […]
사회에 ‘진짜 기여’를 하는 과학자로서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최소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조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은 매년 전 세계 과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달성한 여성과학자 5명에게 세계여성과학자상을, 15명의 전도유망한 신진 여성과학자에게 인터내셔널 라이징 탤런트(IRT)상을 수여한다. 지난 6월 23일 파리에서 진행된 ‘2022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시상식에서 최소영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연구조교수가 IRT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다양한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생산하는 연구를 통해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 해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