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장’도 ‘과학’도, 맞들면 나은 이유
개방과 공유, 협력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오픈 사이언스
인공지능에게 우리 아이 공부를 맡기기 전에
인공지능 분야 권위자 스튜어트 J.러셀 UC버클리대 교수가 지적하는 포인트
광주광역시 서구, 전라북도 부안군, 경기도 하남시 유네스코 글로벌학습도시네트워크 가입 승인
유네스코 평생학습원(UNESCO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UIL)에서 35개국 64개 신규 가입 도시 발표 2월 14일, 유네스코에서 평생학습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유네스코 평생학습원(UNESCO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UIL)에서 35개 국가 64개 신규 도시가 유네스코 글로벌학습도시네트워크(Global Network of Learning Cities, GNLC)에 가입했다고 발표했다. 도시 내 평생학습 증진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 2015년 출범한 유네스코 글로벌학습도시네트워크는 도시의 잠재력을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연구단 한시계약직 채용공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국내외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해 교육·과학·문화·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유네스코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전 세계 유네스코 국가위원회 가운데 가장 역동적인 국가위원회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서 진행하는 한시계약직 채용에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1. 채용 분야, 기간 및 인원 근무부서 / 인원 근무기간 업무내용 연구단[ 1명 ] 2024.4.1 ~2024.12.31(9개월) 트랜스내셔널 […]
함께 해요 세계 라디오의 날!
100살이 넘은 지금도, 라디오는 정보의 민주화를 지키는 현역!
심숙경 MAB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재위촉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자문위원회에 한국 전문가 심숙경 박사가 재위촉됐다.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자문위원회는 생물권보전지역을 비롯한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MAB) 사업에 대한 과학적 자문을 제공하는 위원회로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임명하는 전문가 12인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4년이다. 생물권보전지역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곳으로, 자문위원회에서는 생물권보전지역 신청서와 정기보고서 검토 및 세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활동에 대해 자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도순 MAB한국위원회 위원장(현 국립생태원장)이 […]
‘창백한 푸른 점’과 바다의 미래
바다의 미래가 곧 ‘바다행성’인 지구의 미래
새로워진 유네스코 뉴스 사용 설명서
뉴스레터로 전면 전환 후 첫번째 뉴스레터!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함께 알아보아요 한 달에 한 번? 기다림은 이제 그만! 앞으로는 매달 둘째, 넷째주 목요일에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찾아갑니다. ‘왜 온라인이야’라고 물으신다면 <유네스코뉴스>는 1964년부터 꾸준히 유네스코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다양한 관점과 새로운 소식을 전해 왔습니다. 처음에는 신문 형태로, 이후 잡지 형태로 매달 발간됐는데, 이번 2월부터 전면 온라인으로 전환했어요! 그렇다고 해서 […]
2024년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신입직원 채용 최종합격자 공고
1. 최종합격자 (3명, 가나다순) – 심*은, 양*원, 이*하 2. 비고 – 응시자들에게는 일정에 따라 개별 통보 완료 – 최종합격자 공지 후라도 임용 포기, 결격 사유 발견 등의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채용에 지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석초등학교 (2024)
제석초등학교는 ‘더나은 행복기부행사’에서 학교 굿즈 판매를 통해 마련된 수익금을 유네스코학교 및 학생자치회 홍보를 위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 기부해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