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타임머신 / 그땐 이런 일도] 최초의 영문판 <한국사> 탄생 비사
[유네스코 타임머신 / 그땐 이런 일도] 한위 60년 뒤안길 들여다보기 I 외국인에게 이 책을 읽히자! 올해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위)가 설립된 지 60돌을 맞는 해이다. 6·25 전쟁의 참화 속에서 국민적 여망을 안고 탄생한 유네스코한위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교육·과학·문화 활동을 펼치며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해왔다. 1960년대 중후반 해외의 역사 오류로 인해 국내 사학계가 들끓은 적이 있었다. 이번에는 […]
[유네스코 타임머신 / 그땐 이런 일도] 56년 유네스코 아시아지역회의서 ‘바로잡기’ 결의안
[유네스코 타임머신 / 그땐 이런 일도] 한위 60년 뒤안길 들여다보기 I 일본 심장부에서 역사 왜곡에 첫 ‘회초리’ 올해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위)가 설립된 지 60돌을 맞는 해이다. 6·25 전쟁의 참화 속에서 국민적 여망을 안고 탄생한 유네스코한위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교육·과학·문화 활동을 펼치며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해왔다. 독도 영유권, 위안부 문제 등 최근에도 일본의 역사 왜곡이 뜨거운 […]
한위, 아시아의 잠든 기록유산을 깨우다
워크숍 등 통해 지식과 경험 전수 … 동티모르 등 4개국 등재 도와 오늘날 캄보디아의 근원이 된 크메르 제국은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존속했던 왕국이다. 당시 찬란하게 꽃피웠던 크메르 문명은 지금까지도 캄보디아 사회와 문화의 일부로 살아 숨 쉬고 있다. 12세기에 지어진 앙코르와트가 화려했던 크메르 문화의 외면을 보여준다면, 그 내면에 뿌리내리고 있는 것은 바로 ‘림케’이다. 림케는 인도의 라마야나가 힌두교와 […]
무형유산 오른 세계의 음식문화 해부, 식탁 위에서 펼쳐지는 맛있는 문화 경쟁
김장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된 것이 기뻐할 일이지만 배타적인 자세로 우월해 할 일은 아니다.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가 올림픽 메달 경쟁이 아니기 때문이다. 유네스코가 무형유산을 정하는 이유는 문화의 다양성을 지키고 이를 통해 지구촌이 한 식구로 평화롭게 공존하려는 데 있다. 김장문화가 전세계가 함께 지킬 문화로 세계인에게 다가간 것처럼 우리는 다른 나라의 무형유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글로벌 시티즌의 자세이다. […]
[주재관 서신] 시험대에 선 유네스코 … 파트너십만이 희망이다
지난주에 샨타 레트나싱암 유네스코 민간 재원 모금 과장이 대표부를 찾아왔다. 그는 한위 60주년 기념식을 맞아 방한하는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을 수행할 예정이며 한국 체류 기간 중 한국 기업 관계자와 폭넓게 교류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레트나싱암 과장은 현재 유네스코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사람 중 한 명이다. 2005년부터 외부 재원 모금을 총괄하여 파라소닉, 마이크로소프트, 노키아, 예거르쿨트르, P&G, […]
‘김장문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현장에서
“이젠 국제 기여의 시대, 무형유산 등재 경험 없는 개도국 적극 도와야” 필자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전문가 지원계획’에 따라 2013년 12월 2일부터 7일까지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열린 제8차 ‘무형유산보호 정부간회의’에 다녀왔다. 무형유산보호협약 제정 10주년을 맞아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담론의 현주소를 24개 위원국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직접 파악해볼 수 있는 값진 기회였다. 이번 회의에서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새로이 등재된 우리나라 김장문화의 […]
유네스코한국위원회-제주도 상호협력 업무협약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제주특별자치도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유네스코와 제주특별자치도는 12월 24일 11시 제주특별자치도청에서 유네스코 사업의 상호 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두 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날 체결식에서 민동석 사무총장과 우근민 지사가 각각 두 기관을 대표해 서명한 뒤 협약서를 교환했다. 이 날 체결한 업무협약서는 제주도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생물권보전지역, 지질공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사업 추진 및 상호교류협력, 해녀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
문화재 환수의 국제법적 대응, 우리는 얼마나 준비하고 있나?
– 유네스코 협약과 유니드로와 협약 연구 보고서 발간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문화재 환수와 관련된 주요 국제협약인 1970년 문화재의 불법적인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의 금지와 예방수단에 관한 유네스코 협약과 1995년 도난 또는 불법반출 문화재에 관한 유니드로와 협약의 이행에 관한 연구 보고서(연구책임: 송호영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발간하였다. 연구는 국제법상 문화재의 정의와 주요 용어와 같은 문화재 환수 문제의 기본적 개념부터 상호보완적 […]
Korea Journal 2013년 겨울호 발간
Korea Journal 2013년 겨울호가 발간되었다. 이번 호는 “K-팝 현상과 한류의 이해”라는 주제의 특집으로 구성되었다. K-팝으로 불리는 한국의 대중 음악은 최근 전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 청소년과 젊은이들 사이에 가장 인기있는 대중문화 장르로 성장하면서 한류의 가장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다. 그런데 그 동안 한류에 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하나의 중요한 현상으로 자리잡은 K-팝에 […]
7개 도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에 합류
2년간의 사업중단 후 지난 7월 재개되었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사업에 새로운 도시들이 합류하였다. 콩고 브라자빌(음악), 레바논 자흘레(음식), 폴란드 크라쿠프(문학), 이탈리아 파브리아노(공예 및 민속예술), 프랑스 엉갱 레 뱅(미디어아트), 일본 사포로(미디어아트), 미국 파두카(공예와 민속예술) 7개 도시가 그것이다. 이로써 전 세계 창의도시 수는 34개에서 41개로 증가하여 최근 주춤하였던 창의도시 네트워크 활동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2004년 시작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사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