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2030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중 네번째 목표(SDG4)는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 평생학습’을 다룹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SDG4 국가조정관인 교육부 및 유관기관들과 협력하여 국내 SDG4-교육 2030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SDG4 및 교육변혁 공약에 대한 이행현황과 과제를 점검하고, 국내외 교육격차 문제에 대해 한국이 SDG4 관점에서 대응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연구를 추진하고 정보를 확산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
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는 평화, 인권, 지속가능발전 등 유네스코 이념을 학교 현장에서 실천하고 확산하기 위해 전세계 182개국 12,000여개 학교들이 협력하는 국제 교육 네트워크입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대한민국 485개 유네스코학교의 학생・교사・학부모가 평화를 실천하고, 유네스코학교 간 교류를 통해 세계시민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국내・외 활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세계시민교육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세계시민교육(GCED)을 확산하기 위해 국내 유네스코학교, 유네스코평생학습도시 등 유네스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논의의 자리를 마련하며 우수활동 사례를 확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을 위해 2009년부터는 관련 부처, 기관 및 전문가와 협력하는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한국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개정된 ‘2023년 평화・인권・국제이해・협력・기본적 자유・세계시민・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권고’의 국내 인식을 제고하고 ‘한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 국가 이니셔티브’ 이행을 촉진하고자 […]
교육의 미래 국제포럼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의 교육의 미래 보고서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2021)」 발간 3주년을 맞이하여, ‘경험을 공유하는 대화의 장을 마련할 것’을 요청하는 보고서의 권고를 실천으로 옮기고자 2024 교육의 미래 국제 포럼을 개최합니다. 2024년 12월 2일~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이 포럼에서는 유네스코 회원국 대표, 국내・외 교육 전문가, 교육자, 학생 1,000여명이 모여 회원국의 연구·정책·실천 동향을 공유하며, 글로벌 교육 이슈와 한국 사회 […]
브릿지 프로그램
전세계에서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성인은 7억 8천만 명이 넘고,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아이들은 2억 4천만 명에 달하며, 우리가 함께 완화해야 할 국제사회의 교육 격차는 여전히 큰 현실입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국제사회의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을 만들고, 교육을 통해 삶과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브릿지 사업을 추진합니다. 동티모르, 라오스, 말라위, 스리랑카, 요르단, 파키스탄, 탄자니아 7개 국가의 학교 밖 교육 […]
한일교사대화
한일교사대화는 한-일 교직원 초청연수 프로그램으로서, 2000년 일본 문부성 나카소네 히로후미 장관이 방한하여 문용린 전 교육부장관에게 한일 양국의 우호 증진을 위한 교사교류를 제안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3,100여명의 한-일 교사가 양국의 교육현장을 경험하며 서로의 교육환경, 문화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국의 교육현장에서 평화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확산해왔습니다.
기록유산 역량강화 워크숍
유네스코는 인류 문명과 지식의 풍요를 증명하는 기록물들을 보존하기 위해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회원국간 등재의 불균형이 매우 큰 실정입니다. 109개 국가의 기록물이 아직 등재되지 못했고, 50% 이상의 등재 유산이 유럽의 기록물입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기록유산 분야의 국제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훈련 워크숍을 통해 등재신청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을 돕습니다. 유네스코 유산의 등재가 지역간, 문화간 균형을 이루는 […]
유네스코 등재유산 교육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 유산 사업의 기본 취지를 훼손하는 자국 중심적 유산 해석과 실천에 맞서 유네스코의 가치를 핵심으로 한 보편적·국제적·장기적인 유산교육을 실시합니다. 단편적인 현행 유산교육에서 벗어나 기존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자료를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세계유산
2024년 3월 현재 전세계에는 1,199건의 세계유산 (문화, 자연, 복합유산)이 등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6건이 있습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한국의 유산이 세계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세계유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등재신청서 작성 및 심사, 세계유산 보존 및 활용 사업에 자문하고, 세계유산 로고 사용 절차를 안내하고 승인합니다.
무형문화유산
공동체의 정체성을 지속시켜주고 이를 통해 전세계 문화다양성을 보호하는 데 보탬이 되는 무형유산은 형태가 없다는 그 특성상 특히 사라지기 쉬운 유산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무형의 유산을 잘 보호하여 후세대에 전해줄 수 있도록 하는 무형유산협약 이행을 위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정부 및 카테고리2센터 등 관련 기관과 협력하며, 협약 당사국으로서 협약회의 주요 의제를 분석하고 한국 대표단의 대응을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