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유네스코 한일교사대화 한국교직원 일본 방문 프로그램에 다녀와서
한-일 양국 교사들의 상호 이해를 높이고 교육 관련 논의를 위한 ‘2018 유네스코 한일교사대화 한국교직원 일본 방문 프로그램’이 지난 1월 진행됐다. 20여 년 전인 1997년, 교육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의 교육 현장과 학교를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 청년 교사 의 눈에 비친 당시 일본 사회와 학교는 경이로움과 새로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 ‘우리 학교는 언제쯤 이렇 게 선진화된 시설과 교육환경을 […]
유네스코 회관 건립, ‘명동 시대’ 열다.
사진으로 보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1954년에 설립됐지만, 이후 몇 년간 사무처는 자체 건물 없이 서울 남대문과 시청 근처 임대 사무실을 전전하며 업무를 처리했다. 이에 위원회의 든든한 새집을 짓 기 위해 1958년 ‘사단법인 한국유네스코후원회’가 출범했다. 후원회는 서울 중구 명동2가 현 유네스코회관 부지 관리권을 기증받아 1959년 공사를 시작했고, 1967년에 지상 13층, 지하 1층 규모의 유네스코회관이 완공됐다. 당시 서울의 […]
맑은 물에 담긴 다양성, 함께 보고 느껴요
ESD 공식프로젝트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11년부터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ESD 공식프로젝트) 인증제를 통해,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교육적 헌신과 노력이 깃든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17년까지 총 85개 공식프로젝트가 인증 받았으며, 인증받은 공식프로젝트는 한국형 ESD 모델의 일환으로 국제사회에 소개해 보급·확산되고 있습니다. 발전 밑바탕 된 담수, 이제 지속가능성을 생각할 때 우리 조상들은 금수강산(錦繡江山)이라 불릴 만큼 아 름다운 산과 강을 후손들에게 물려주었고, […]
제4차 산업혁명의 플랫폼으로서의 유네스코
광화문을 거닐다가 제4차 산업혁명위원회 간판을 보면서 만감이 교차한다. 한 때 혁명은 함부로 사용할 수 없는 용어였다. 어렸을 때는 ‘5·16 군사혁명’(5·16 쿠데타를 일으킨 신군부가 군사 정변 정당화를 위해 붙인 명칭-편집자 주)이란 말을 듣고 자랐다. 요즘은 급격한 변화를 상징하듯, 혁명은 사회의 여러 부문에서 쓰인다. 우리는 정치혁명, 시민혁명, 산업혁명, 교육혁명 등 혁명의 일상화, 일상의 혁명화 속에서 살고 있다. 혁명은 특수 전문 용어를 넘어 일반 보통명사로 쓰인다. 한편, 혁명과 교육은 불가분의 관계이기도 하다. 모든 혁명은 […]
유네스코의 올바른 거버넌스란
유네스코는 지식인들의 성찰을 밑거름으로 태어난, 남다른 ‘출생 배경’을 가진 국제기구다. 이런 배경으로 유네스코의 거버넌스에는 시민사회와 지식인을 대표하는 전통이 오래 이어져 왔다. 73년 전 설립 당시 유네스코의 의사결정기구인 집행이사회는 개인 자격의 전문가 18명으로 구성됐다. 이후 집행이사회 구성원의 자격은 개인에서 국가를 대표해 뽑힌 개인으로 바뀌었다. 이어 1991년에 이사국 수를 현행 58개국으로 대폭 늘리면서 집행위원의 자격 역시 개인에서 정부 대표로 완전히 바뀌었다. 환경에 따라, 그리고 구성원이 대표하는 […]
차곡차곡 단단하게 ‘내일’을 쌓아 올릴 겁니다
국제개발협력 2017년 6월, 브릿지 참여사업으로 잠비아 네가네가 CLC(Community Learning Center, 지역학습센터)에서 착공된 벽돌미장교실의 실습공간이 6개월 여의 공사 끝에 지난 1월 드디어 완공됐습니다. 학생들의 꿈과 희망도, 반듯하고 단단한 벽돌처럼 이곳에서 하나 하나 쌓아 올릴 수 있지 않을까요? 지난해 6월부터 본격 시작된 실습공간 공사는 작년 2학기 벽돌미장교실 수강생 아홉 명의 손으로 직접 이루어져 더욱 뜻 깊었습니다. 수강생들은 실기수업을 겸해서 건축가의 지도를 받으며 직접 벽돌을 쌓아 올렸습니다. 자신들이 수업을 받을 […]
평화를 이야기하는 법
꾸리에 평화란 무엇일까 학생들은 ‘평화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어떤 대답을 할까?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평화가 무엇인지 너무나 잘 알고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평화는 생각보다 정의내리기 어려운 단어다. 평화 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고 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답하지만, 평화란 이 정도로 소극적 개념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학생들에게 다른 측면의 질문을 던지며 좀 더 생각을 넓혀보길 권해본다. 평화는 정말 ‘전쟁 없는 상태’뿐인 […]
여성만이 아닌 우리의 연대
[741호] 커버스토리 매 해 연초는 대중문화계의 시상식 시즌이다. 시상식 참가자들이 선보이는 패션은 동시대 전세계가 주목하는 트렌드가 된다. 지난 1월 미국에서 열린 골든글로브(Golden Globe)와 그래미(Grammy)부터 3월의 아카데미(Academy)까지,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아티스트들이 올 시상식에서 선보일 ‘베스트 액세서리’로 ‘정치적 발언’을 꼽았다. 여성 아티스트들은 더는 시상식의 꽃으로 남기를 원하지 않는다. 시상대에 오른 여성들은 하나같이 검정 드레스, 혹은 흰 장미를 […]
유네스코 공식 NGO 파트너십 안내자료 (Brochure ‘Becoming an NGO, official partner of UNESCO’)
유네스코의 공식 NGO 파트너십에 대한 기본원칙과 종류, 절차 등에 대한 안내자료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2018년도 직원 공개채용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는 아태지역 유네스코 48개 회원국의 무형유산보호 활동 지원 및 역량강화를 위해 설립된 유네스코 카테고리 2기구(C2센터)로서, 무형문화유산 분야의 다양한 국제 협력사업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센터의 비전과 목표를 함께하고자 하는 역량 있는 유능한 인재를 모집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2018년 2월 26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 1. 채용분야 및 지원자격 등 채용분야 인원 계약기간 담당업무 자격요건 국제문화협력(정규직) O명 – ◾ 무형유산 국제협력 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