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망국의 한 대신 찬란한 역사로 기억될 땅
지난 2014년 동안 단 한 번도 해체된 적이 없는 탑 안에는 어떤 놀랄 만한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지난 2015년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 전라북도 익산시에 분포하는 삼국시대의 백제 관련 유적이 ‘백제역사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되면서 백제의 옛 도읍지들이 다시금 조명받고 있다. 그중 부여는 작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향기를 느끼고자 하는 사람들의 발길이 늘 끊이지 않는 곳이다. 사실 부여는 700여 년에 달하는 백제의 역사 중 마지막 123년 만을 간직하고 있다. 이곳은 삼국시대의 끝자락, 나당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을 맞은 장소다. 이 때문에 부여는 백제의 황금기를 지켜보았던 이웃 도시들보다 볼 것이 별로 없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오해다. 부여에서 나온 유물이나 현재 그곳에 남아있는 문화유산만으로도 충분히 당시의 백제 문화가 찬란하고 또 눈부셨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백제금동대향로가 이를 증명하고, 또한 지금부터 이야기할 정림사지 5층석탑이 그러하다. 개인적으로 부여를 찾으면 가장 먼저 들르는 곳이 정림사지다. 이곳에 정림사지 5층석탑이 있기 때문이다. 목조 건축물을 흉내 내서 지은 이 석탑은 특히 안개가 뿌옇게 피어오르는 새벽에 가서 볼 때 그 우아함에 신비로움까지 더해져 운치 있는 자태를 뽐낸다. 이 석탑을 주의 깊게 살펴본 사람들이 공통으로 하는 말이 있다. 멀리서 보면 아담하게 느껴지던 탑이, 가까이 다가가 보면 훨씬 웅장하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이는 정림사지 5층 석탑이 가진 완벽한 비례감 덕분이다. 탑신의 기둥은 살짝 안으로 들어가 있으며 아래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하여 안정감을 주었고, 지붕돌은 옆으로 길게 뻗어 나가다가 끝이 살짝 올라가 경쾌함을 자아낸다. 찬란했던 한 시대의 끝자락에서, 어떻게 백제는 마지막 숨을 고르며 정림사지 5층 석탑과 같은 명품 문화재를 남길 수 있었는지, 나는 이 점이 늘 궁금하다. 이것 말고도 이 탑에 호기심이 생기는 이유가 하나 더 있다. 정림사지 5층 석탑은 아직 단 한 번도 해체된 적이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우리가 석가탑이라고 부르는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에서는 해체 보수 과정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나왔다. 옆 동네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 해체 보수과정에서는 당시까지 실화로 여겨지던 서동 설화의 이야기와 배치되는 내용이 담긴 사리봉안기(미륵사를 창건하고 사리를 봉안한 계기를 새겨둔 것)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처럼 옛 석탑을 해체할 때마다 우리는 과거의 진실을 향해 성큼 발걸음을 내딛을 수 있었다. 그러니 여태껏 한 번도 해체 보수 되지 않은 석탑인 정림사지 5층 석탑이 무려 1400여 년간 지켜온 비밀의 내용이 나는 참으로 궁금하다.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백제의 건축물 중 유일하게 온전한 모습으로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기에 나라가 기울어져 가는 순간의 아픔이 새겨져 있기도 하다. 이 탑은 한때 평제탑(平濟塔)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백제를 정복하고 세운 기념탑이라는 뜻이다. 왜 사비 시대 문화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이 탑이 이러한 오명을 쓰게 된 것일까. 그것은 탑신에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점령할 때 당의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복했다”는 글귀가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소정방은 백제를 멸망시킨 후 자기의 전공을 어떻게 해서라도 내세우고 싶었을 것이다. 그래서 사비 한복판에 우뚝 서 있는 이 석탑에 아픈 상처를 남겼으리라. 백제 멸망의 순간을 지켜본 것도 모자라 그 아픔이 몸에 새겨지는 수모를 겪었지만, 1400년을 묵묵히 제자리를 지키며 우리에게 백제 문화의 찬란함을 보여주는 탑. 이것이 정림사지 5층 석탑이 더욱 아름답게 보이는 이유일지 모른다. ‘부여’ 하면 많은 사람들이 ‘삼천궁녀와 낙화암’으로 대변되는 망국의 이야기를 제일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이곳에 깃든 이야기를 듣고 나면 우리는 부여를 조금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부여는 백제 부흥의 꿈을 이루기 위해 성왕이 치열한 개혁을 펼쳤던 곳이자, 마지막까지 백제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꽃 피웠던 장소였다는 사실을 모두 함께 기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최태성 역사강사· 저술가 ◈ 유네스코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
[부록]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 국제 세미나
한국의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 기념으로 2018년 5월 2일에 있었던 국제 세미나 부록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 국제 세미나 자료집
한국의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 기념으로 2018년 5월 2일에 있었던 국제 세미나 자료집
[유네스코 DG 메시지] 세계 언론 자유의 날
세계 언론 자유의 날 오드리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 메시지 2018 년 5 월 3 일 “우리의 자유는 언론 자유에 달려 있으며, 언론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곧 언론 자유를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이 말은 1786년에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이 자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고 있을 당시 한 말로, 미합중국 건국의 역사적 순간을 뛰어넘는 보편적 차원의 의미를 갖는 말이라 할 […]
2018년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대학생 기자단 모집
유네스코한국위원회(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에서 대학생 기자단을 모집합니다. 유네스코는 교육, 과학, 문화, 커뮤니케이션 등 인류의 지적 활동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통해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유엔전문기구입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국내외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해 교육, 과학, 문화,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유네스코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및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활동과 언론/홍보/SNS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 모집요강 – 1. 지원자격: 유네스코 활동 및 언론/홍보/SNS에 관심이 있는 국내외 대학(원)생 ※ […]
오드리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 남북정상회담 선언 환영
오드리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지난 4월 27일 오전(한국 시각) 본인의 트위터(@AAzoulay)를 통해 “한국 정상들의 역사적 선언을 환영한다”며, “이번 선언이 한반도의 지속적 평화 구축을 위한 초석이 되기를 바라며, 유네스코도 관련 분야에서 적극 협력하여 한반도의 평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UNESCO 2017
http://unesdoc.unesco.org/images/0026/002619/261971e.pdf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관용과 비폭력 진흥상’ 후보자 공모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관용과 비폭력 진흥상’ 후보자 공모 (UNESCO-Madanjeet Singh Prize for the Promotion of Tolerance and Non-Violence) 유네스코는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관용과 비폭력 진흥상’ 후보자를 추천받습니다. 마하트마 간디 탄생 125주년과 ‘세계 관용의 해’를 기념하여 1995년에 제정된 유네스코-마단지트 싱 관용과 비폭력 진흥상은 과학·예술·문화·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관용과 비폭력 정신 고양에 이바지한 노력을 기리기 위하여 개인, 기관, 비정부기구에 수여됩니다. 1. 추천 대상 관용과 비폭력 정신 고양에 이바지한 […]
의지의 인간, 우주의 별이 되다
스티븐 호킹 박사는 다른 수식어가 필요 없는, 현 인류의 가장 위대한 과학자다. 호킹 박사의 업적은 우주의 기원과 구성, 변화를 연구하는 현대 우주론의 핵심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로 대표되는 블랙홀과 관련한 그의 이론을 증명하는 것은 여전히 현대 과학에 남겨진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다. 호킹 박사는 탁월한 학문적 성과 외에도 일반인을 위한 저술과 […]
한국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 국제 세미나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한국의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을 맞아, 외교부, 문화재청과 공동으로 ‘한국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 국제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오는 5월 2일(수), 롯데호텔 서울에서 진행되는 이 세미나에는 세계유산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세계유산협약의 현주소를 되짚어 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세계유산에 대한 이해와 관심, 참여를 증진시키는데 이바지 할 이번 세미나에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 – 아 래 – 1. 회의명: 한국 세계유산협약 가입 30주년 국제 세미나 (Seminar on the 30th Anniversary of Korea’s Accession to the UNESC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