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브릿지 미얀마 프로젝트’ 현장 모니터링 후기
내가 원하는 삶 위해, 오늘도 학교로 걸어갑니다. 올해 열일곱 살인 미앗(Myat Thinzar Lewin)은 ‘브릿지 미얀마 프로젝트’ 학습자 중에서도 똑똑하고 성실해서 특별히 기억에 남는 아이였습니다. 그런데 그 아이가 더 이상 학습센터에 나오지 않는다니… 미얀마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학업뿐만 아니라 생계를 위해 일을 병행해야 하는 형편에 있기 때문에, 미앗이 학업을 그만 둔 이유는 굳이 묻지 않아도 짐작이 갔습니다. 아버지를 도와 어린 남동생과 […]
어서 와, 이런 ‘학습’ 처음이지?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이라고 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시험을 보기 위해 하는 공부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특히 ‘야자’(‘야간자율학습’의 약자)의 추억이 생생한 이들에게는 학습이란 ‘엉덩이 오래 붙이고 앉아 있기 훈련’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유네스코가 말하는 학습은 사뭇 다르다. 유네스코는 ‘학습’을 우리가 알고 있는 제한된 시공간에서 배우는 활동을 넘어서 가정, 학교, 지역사회, 직장 등 어느 맥락에서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평생 배우는 활동으로 보고 ‘평생학습’의 개념을 도입했다. 유네스코는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 […]
유네스코 상식
유네스코 유산 ‘오해와 진실’ ⑳ 한 나라가 한 번에 여러 건의 세계유산을 등재시킬 수도 있나요? 한 나라가 한꺼번에 복수의 세계유산을 등재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대답은 ‘더는 가능하지 않다’ 입니다. 2018년 2월 1일까지는 모든 협약 가입국이 1건 이상의 자연유산, 혹은 문화경관을 포함한 2건의 등재 신청서를 제출하고 심사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1년에 세계유산위원회가 심사하는 총 등재신청서의 수가 45건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2월 1일 이후부터는 세계유산위원회가 심사하는 등재신청서를 한 국가 […]
한중일 건축도시 교육 공동체 SUAE Asia
ESD 공식프로젝트 <31> 건강한 도시와 건축에 대해 서로에게 묻고 답하며 지속가능발전의 미래를 꿈꿉니다 캠퍼스아시아 건축학사업단(SUAE Asia)은 한·중·일 3국 대학 간 석사 복수학위과정 구축을 목표로 3국 교육 부의 심사를 거쳐 2016년 10월 ‘CAMPUS Asia 한·일·중 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이 사업에는 한국의 부산대 건축학과, 중국의 상해 동제대 건축계획학원, 일본의 후쿠오카 큐슈대 건축학과가 참여해, 교육부와 각 대학의 지원을 받아 대학원과정에서 ‘교육 공동체’라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SUAE Asia라는 이름은 이 […]
문화로 만들어 가는 지속가능한도시, 지속가능한 세계
19세기 초에는 인류의 단 2퍼센트만이 도시에 살았다. 그 100년 후엔 10퍼센트, 또 100년이 지난 지금은 전 인류의 절반이 도시에서 살고 있다. 도시 인구의 증가 속도는 점점 빨라져 30년 후인 2050년에는 전 인류의 2/3 이상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구상에 두 달에 한 개씩 인구 1,000만 명의 거대 도시가 하나씩 생기는 셈이다. 개발도상국에서의 도시화 추세는 더욱 거세다. 탄자니아 다레살람, 베트남 호치민, 콜롬비아 보고타 등, 2030년까지 인구 천만이 넘는 ‘메가시티’(mega city) 대열에 새롭게 합류하게 될 10개 도시들은 […]
백 년 전의 세계시민들
이달 초 세계시민교육과 지속 가능한 평화에 대한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평화를 중심에 두고 세계시민교육을 생각할 때, 2019년은 뜻깊은 해다. 바로 3.1운동이 100주년 되는 해다. 유럽에서도 100년 전인 1919년에 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인 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파리 평화회담이 열렸다. 2천만 명의 희생을 치른 엄청난 파괴 이후, 다시는 이러한 비극을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는 당위가 힘을 받을 때였다. 바로 근대적 의미의 평화, 세계평화가 이때부터 공론장에 등장했고, 유네스코의 ‘평화의 문화’도 그 […]
세계시민교육, 평화를 열어갈 가장 현실적인 도구입니다
‘한국 여성 최초의 유네스코 본부 국장’으로 국제기구를 꿈꾸는 젊은이들의 롤모델이 된 최수향 유네스코 평화·지속가능발전국 국장이 9월 5-6일 서울에서 열린 ‘제3회 세계시민교육 국제회의’(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참석차 한국을 찾았다. 세계시민교육의 시작 단계부터 책임자로서 함께해 온 최수향 국장에게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다양한 조언을 청해 들었다. 세계시민교육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세부목표 중 하나인 동시에,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전 인류가 뜻을 모으기 위한 밑바탕이기도 […]
수중문화유산, ‘진짜 보물선’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지난 7월, 러일전쟁 때 침몰한 러시아 군함 ‘드미트리 돈스코이 호’를 울릉도 앞바다에서 찾았다는 한 기업의 발표가 있었다. 이 기업이 내놓은 어마어마한 액수의 보물 이야기는 대단한 화제를 몰고 왔다가 단 며칠만에 사기극으로 판명되어 끝이 났다. 이번 소동을 지켜보면서 ‘혹시나’ 했던 마음이 ‘역시나’ 하는 실망으로 바뀐 사람도 많았겠지만, 그래도 많은 이들은 어릴 적 한번쯤 꿈꾸었던 판타지 하나를 새삼 떠올리기도 했다. 바로 저 깊은 바닷속의 보물선 이야기다. 수백 년의 세월 […]
ESD 인증제 소개 자료
한국 사회 내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우수 사례 발굴을 통한 국내 관련 활동 및 훈련 증진, 관련 모범 사례의 국내외 보급 및 확산을 목적으로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운영하고 있는 <유네스코 ESD 공식프로젝트 인증제> 사업의 소개자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시계약직 채용 공고(유네스코레인보우프로젝트 운영 등)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국내외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해 교육·과학·문화 분야에서 유네스코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전 세계 199개 유네스코 국가위원회 가운데 가장 역동적인 국가위원회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 1. 채용 부서 및 임용기간, 주요 업무 ○ 유네스코학교팀: 2개월(2018. 11.1~2018. 12.31.), 1인 • 유네스코레인보우프로젝트 운영 및 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 사업전반에 대한 운영지원 2 임용 직위: 한시계약직 3. 처우 ○ 계약직 임용기간 중에는 「사무처계약직세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