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고 Happy 새로운 New 한 해 Year 기대해 주세요!
사업부서장 새해 사업 포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창립 65주년을 맞는 올해, 유네스코한 국위원회의 사업부서 부서장들이 새해 사업 포부를 밝혔다. ‘황금’보다 반짝반짝 빛나고, ‘돼지’보다 쓰임새가 다양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2019년을 기대해 본다. ○ 유네스코북한위원회가 참여하는 동북아 유네스코 국가위원회 회의가 매우 중요한 사업이 될 것입 니다. 2013년 이후 중단된 이 회의를 재개함으로써 유네스코 차원의 남북한 협력과 동북아 평화 사업을 적극 모색할 […]
지구의 다양성을 지키는 사람들, 토착민
유엔은 2019년을 ‘세계 토착어의 해’로 정했다. 한 지역 에서 대대로 살아온 사람들, 곧 토착민(indigenous people)이 힘겹게 지켜내고 있는 언어에 올 한 해 동안 더 특별한 관심과 지원을 하기 위해서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90개 나라에 약 3억 7천만 명의 토착민이 있다. 지구 전체 인구의 5%인 이들은 세계 빈곤 인구의 15%를 차지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
생물을 다양하게, 생물로 행복하게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 지킴이 양성 과정 생물다양성의 도움 없이는 인간이 생존할 수 없고,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이를 현명하게 이용하는 것은 지속가능발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위해 2007년에 설립된 환경부 소속기관으로,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목표(Aichi Target) 이행을 위해 연구, 전시, 교육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 생물다양성 전문가로 자라날 수 있는 어린이들을 위해 ‘어린이 생물자원 교실’, […]
쉽지 않았기에 더 값진 시간을 돌아보며
엠흘랑에니 지역학습센터 졸업식 지난해 12월 14일, 에스와티니의 작은 마을 엠흘랑에니에서 지난 1년간의 결실을 맺는 졸업식이 열렸다. 에스와티니 노동사회 보장부 장관까지 참석한 이번 졸업식에서 꼬마 유치원 친구 8명, 성인문해교실 학습자 13명, 재봉교실 학습자 8명이 졸업장을 받았다. 올 3월 이별을 앞두고, 이 졸업식을 남다른 감정으로 지켜본 주교진 PM의 인사를 전한다. 2016년 브릿지 에스와티니 프로젝트가 시작될 때부터 함께한 […]
가슴이 따뜻한 여러분, 고맙습니다
2018 유네스코 후원자의 밤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지난 12월 6일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11층 유네스코홀에서 ‘2018 유네스코 후원자의 밤’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올 한 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지구촌 교육나눔 사업에 동참한 후원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마련됐다.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 속에 진행된 1부 행사에서 유네스코한국위 원회는 사진과 영상, 나눔 캠페인 등으로 참석자들에게 유네스코 지구촌 교육나눔 사업의 현장을 생생하게 […]
고등교육 분야 국제교류와 참여의 기반을 닦은 한국외국어학원
1953년 유네스코·운크라(국제연합한국재건단;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교육사절단의 보고서 「한국의 교육재건」의 건의에 따라 한국인의 어학훈련을 위한 한국외국어학원 설치 계약이 문교부와 유네스코·운크라 간에 체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대학교에 한국 외국어학원(Korean Foreign Language Institute)이 설치되었다. 설립 이후 한국외국어학원은 해외 유학을 희망하는 국내 학생들의 어학훈련을 전담하면서 우리나라의 젊은 인재들이 교육‧과학‧문화 등 고등교육 분야의 국제교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반을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의 영어 명칭은 ‘UNESCO Documentary Heritage’인가요?
유네스코 유산 ‘오해와 진실’ ⑱ 그렇지 않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이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의 직관적인 영문 명칭과 달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은 ‘UNESCO Memory of the World’, 즉 ‘세계의 기억’ 이라는 문학적인 영문 명칭을 갖고 있습니다. 이 이름은 1992년 해당 사업이 시작될 때부터 사용되었습니다. 페데리코 마요르(Frederico Mayor, 1987-1999 재임) 당시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인류가 축적해온 정보와 […]
과학 및 과학연구자에 관한 권고
유네스코 규범 돋보기 ① Recommendation on Science and Scientific Researchers 2017년 제39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이 권고는 1974년 ‘과학연구 종사자의 지위에 관한 권고’를 개정한 것입니다. 이 권고는 과학을 실행하고 규제하며 증진하는 연구기관 및 개인, 단체를 대상으로, 과학연구가 윤리적으로 진행되어 우리 사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을 각 회원국의 정부가 마련해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나 유전자 […]
『지속가능발전목표 4(SDG 4)』카드뉴스 소책자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지난해 10-12월간 SNS에 연재한 11 개 ‘SDG 4 카드뉴스’ 시리즈를 모아 소책자로 발간했다. 지속 가능발전목표 4번(SDG 4)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우리나라에서 이행되는 상황이 어떠한지를 알리기 위해 연재된 카드뉴스 시리즈는 SDG 4의 7개 세부 목표(4.1~4.7)를 비롯해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한 분야별 역할과 모니터링 방안 등을 담고 있다. 이 책자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있다.
『문화다양성협약 글로벌리포트』국문 번역본
유네스코의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협약(2005)」이행을 전세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총정리한 『2018 문화다양성협약 글로벌리포트』의 국문 번역본이 발간되었다. 이번 보고서는 협약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의 네 가지 포괄 목표(△ 지속가능한 문화 거버넌스 체계 지원 △ 문화상품과 서비스의 균형적인 흐름 및 예술가와 문화 전문가의 이동성 증대 △ 지속가능한 발전 체계에 문화 통합 △ 인권과 기본적 자유 증진)에 따른 협약 이행 현황과 도전과제를 담고 있다. 유네스코가 문화다양성협약 관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