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ED-민족주의 보고서
범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민족주의적 관점의 증거 및 원인을 규명하고, 세계시민교육(GCED)의 관점에서 범세계적 도전과제로서의 민족주의를 고찰하고 그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유네스코가 발간한 자료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진전
유네스코 「국제이해, 협력, 평화를 위한 교육과 인권·기본적 자유에 관한 교육 권고」(1974년) 관련 제6차 설문조사에 참여한 83개 회원국별 활동보고 결과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국제동향 파악, 명확한 인식 및 효과적 실천 방안 모색을 돕기 위한 보고서
우리에게 유산이란 무엇인가?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5.14.(화) 외교부, 문화재청과 공동으로 서울에서 ‘2019 유네스코 세계유산 해석 국제회의(201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ESCO World Heritage Interpretation)’를 개최했다. 유네스코 회원국 대사, 세계유산 해석 분야 국제전문가, 세계유산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 참석자 등 총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회의에서는, 유산의 본질과 변화하는 유산해석의 경향을 비롯한 포용적인 해석 전략수립 등에 대해 폭넓고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
청년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생물권보전의 의미와 가치를 공유하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김광호)는 MAB한국위원회, 고창군과 함께 7월 9~12일 전북 고창 선운산 유스호스텔에서 ‘유네스코 MAB 청년포럼’을 개최한다. 이 포럼은 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한 청년의 이해를 돕고, 생물권보전지역에서 연구, 생태관광, 교육 등 생물권 보전과 발전을 위한 청년의 활동을 촉진하고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MAB국가위원회(MAB National Committee): 약 160여 개국에 MAB국가위원회가 설립되어 각국의 MAB 사업을 계획·자문·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에 MAB한국위원회가 설치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유네스코는 2017년 이탈리아 베니스 포 델타 생물권보전지역에서 처음으로 MAB 청년포럼을 개최하여 전 세계 청년들의 MAB 활동을 공유하고 청년들이 MAB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신입직원 채용 공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직원채용 온라인지원 바로가기
2019 유네스코 세계유산 해석 국제회의 프로그램북
2019 유네스코 세계유산 해석 국제회의 프로그램북
‘소멸 위기 언어’로 전하는 언어 다양성의 가치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김광호)는 9일 유네스코회관 앞에서 ‘세계 토착어의 해’ 기념 거리행사를 진행했다. 일반 시민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유네스코회관 앞 거리에서 한 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소멸위기에 처한 언어’인 제주어로 노래하는 제라진소년소녀합창단, 유네스코 글로벌 학습도시인 성동구, 주한 방글라데시 대사관이 참여하여 공연을 펼쳤고, 제주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홍보 부스 운영 및 SNS […]
동아시아 유교문화 청년포럼 (한국 참가자 모집)
동아시아 유교문화 청년포럼 – 한국 참가자 모집 –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한국국학진흥원은 동아시아의 전통사상인 유교와 세계시민주의의 접점을 모색하기 위해 ‘동아시아 유교문화 청년포럼’을 개최합니다.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역의 평화와 번영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이번 포럼에 청년, 대학(원)생, 활동가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1. 포럼 개요 □ 일 시: 2019년 8월 19일(월) ~ 23일(금) □ 장 소: 경상북도 안동시 한국국학진흥원 □ 참가자: 40명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국별 10명) □ 구 성: 전문가 […]
2019년도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오카야마상 공모
일본 오카야마 시(市)는 2005년 ‘오카야마 ESD 프로젝트’(Okayama ESD Project) 설립 이후, 지역 내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촉진을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교류·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카야마 시에서는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ESD, 2005-2014년)을 마무리하고 차기 사업을 논의하는 자리였던 2014년 유네스코 ESD 국제회의(UNESCO World Conference on ESD)가 개최된 바 있습니다. 한편 DESD의 후속 프로그램인 국제실천프로그램(Global Action Programme, GAP, 2015-2019년)의 핵심 파트너로서 오카야마 시는 2015년부터 매년 전 […]
임현묵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장 취임
임현묵 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본부장이 4월 1일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하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제6대 원장으로 취임했다. 임현묵 신임 유네스코 아태교육원장은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덴버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석사, 서강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2년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 입사한 이래 20년 넘는 기간 동안 과학팀장, 정책사업본부장, 교육본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다양한 유네스코 관련 업무를 수행해온 유네스코 전문가다. 유네스코 아태교육원은 한국 정부와 유네스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