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된 지역에도 배움의 단비를
브릿지 파키스탄 프로젝트 현장 소식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2020년도 브릿지 아시아 프로그램도 적잖은 변화를 겪고 있다. 현지 협력기관과의 사업 논의를 위해 정기적으로 시행되던 현지 모니터링 출장은 무기한 중지되었으며, 매년 하반기 협력기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진행하던 ‘역량강화 워크숍’도 열리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에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브릿지팀은 온라인으로 현지 협력기관과 긴밀하게 소통하며 사업들을 살피고 있는 중이다. 이번 달에는 […]
유네스코는 한국 해양학 발전의 큰 동력이었습니다
허형택 전 IOC/WESTPAC 의장 및 한국해양연구원장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대륙과 이어져 있는 북쪽으로는 사실상 왕래가 어려운 우리나라의 상황을 생각해 볼 때, 바다를 연구하고 바다를 통해 세상과 교류하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당위의 문제였다. 유네스코는 한국이 대륙 세력과 해양 세력이 교차하는 우리 바다를 상세히 파악하고 개발과 공생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기여한 바가 적지 않았다. 1960년대 […]
소외된 사람들의 문해 이야기, 책으로 내면 어떨까요?
대.기.만.성. 인터뷰 ‐ 이영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국제협력팀 전문관 대.기.만.성.은 ‘대학생 기자들과의 만남이 성사되었습니다!’의 약자로 천하무적 상큼발랄한 대학생 기자단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안팎의 인물들을 만나 청년의 입장에서 궁금했던 다양한 내용들을 인터뷰해 싣는 코너입니다. 이번 달에 대학생 기자단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국제협력팀에서 근무하는 이영은 전문관의 이야기를 들어 보았습니다. “소외된 사람들의 문해 이야기, 책으로 내면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간단한 본인 소개와 인사 부탁드립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국제협력팀에서 […]
제주도 문해교육 사업 (1965)
기록으로 보는 유네스코와 한국 “가장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대부분의 피교육자들이 솔직히 표현한 것은 한글을 이제는 알게 되었다는 점, 새롭고 유익한 농사지식을 알게 된 점, 그리고 일반적인 사회상식을 많이 배운 점을 들고 있었다. 또 어떤 사람들은 편지를 쓸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고 하였으며 또 어떤 사람들은 전과는 달리 그들 자녀교육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표명하게 되어서 큰 […]
다시 시작될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다리며
2020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역량강화 온라인 워크숍 다시 시작될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다리며 코로나바이러스의 전 세계 확산으로 인해 대외 협력사업이 전면 재검토되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면서 2009년부터 시작해 10년 넘게 개최해 오던 세계기록유산 역량강화 워크숍 또한 변화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지금껏 한 번도 가보지 않았던 길을 가야만 하는 상황에서, 온라인 워크숍이라는 한계를 이겨내고 열흘에 걸쳐 성공적으로 일정을 […]
슬기로운 ‘넥스트 노멀’ 생활
슬기로운 ‘넥스트 노멀’ 생활 푹푹 찌는 여름날 땀을 뻘뻘 흘리면서도 마스크를 챙겨 쓰는 것도, 아크릴 판을 사이에 두고 각자 함께지만 함께가 아닌 것 같은 식사를 하는 것도, 이제는 모두 일상이라 불러도 어색하지 않을만큼 우리는 어느덧 ‘코로나 시대’에 적응해 살고 있다. ‘뉴 노멀’이란 용어가 벌써부터 ‘노멀’하게 들리는 지금, 우리에게 남은 선택지는 전과 다른 세상에 무사히 적응하는 방법을 […]
인권존중과 성평등 문화에 기여하는 성교육을 위해
『2018 국제 성교육 가이드라인』 한글판 출간 한국의 성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나오는 청소년들의 이야기는 한결같이 ‘제대로 된 성교육을 받고 싶다’는 것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우리나라의 성교육은 청소년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 성인지적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시각을 키우는 성교육이 뿌리내리는 데 도움을 줄 국제 성교육 가이드가 한글판으로 출간됐다. 지난 6월 […]
지속가능발전교육, 청소년이 묻고 전문가가 답하다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도시 통영선언 지난 6월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경남 통영시 RCE세자트라숲에서는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도시 선언식이 개최됐다. 학생과 학계, 지자체가 모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기를 약속한 이 자리에서 학생과 전문가 대표가 각각 발표한 내용을 축약해 소개한다. 청소년이 마음껏 꿈꿀 수 있는 미래를 위해 통영고등학교 3학년 김민성 청소년들은 정말 바쁜 학창시절을 보내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기후위기에 대해 배울 기회는 거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