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유네스코 청년포럼 ‘UN Youth 2030’과 한국 청년
2020 유네스코 청년포럼.pdf
일상의 평화를 찾는 청년들의 여정 시작된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소년 온라인 평화 캠프 ‘피스 오브 피스’ 개최전국 유네스코학교 고등학생 및 대학생 멘토 등 100여명 참가세계시민에 대해 배우고, 일상 속 평화가 무엇인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 마련주제강연, 모둠별 활동, 방구석 오찬회, 온라인 캠프파이어 등 다채로운 행사 실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김광호)는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가입 70주년을 맞아 11월 7일(토)부터 15일(일)까지 9일간 유네스코 청소년 온라인 평화 캠프 ‘피스 […]
2021 국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 공모 안내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는 문화와 창의성을 활용한 새로운 도시발전 모델을 발굴해 문화다양성과 지속가능발전을 증진하기 위해 2004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이러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가치에 동참하고자 하는 국내 도시들을 지원해왔으며, 2020년 현재까지 총 10개 도시(서울, 이천, 전주, 광주, 부산, 통영, 대구, 부천, 원주, 진주)가 가입하여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21년도 국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 신청을 위한 국내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핸드북
유네스코(UNESCO)는 저널리즘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 책은 (유네스코가 제공하는) 가장 최신의 최첨단 자료이다.이 책은 유네스코 국제 커뮤니케이션 개발 사업(International Programme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IPDC)이 주력하고 있는 ‘탁월한 저널리즘 교육을 위한 글로벌 이니셔티브(Global Initiative for Excellence in Journalism Education)’의 일환이다.
기술용역 입찰 취소공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서 추진 중인 용역 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입찰공고를 취소합니다. 공고번호 : 20201033202-00 용 역 명 : 유네스코회관 건축물 정밀안전진단 용역 취소사유 – 정밀안전진단 과업내용 보완 – 용역업체 선발을 위한 자격기준 및 세부평가 기준 재검토 2020. 11. 05.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세계기록유산 등재 및 활용방안을 위한 학술대회 안동에서 열려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관심을 가지고 전문적으로 관리, 보존하는 기관의 담당자들과 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전문가들이 안동에 모인다. 한국은 1997년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이 처음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이래 총 16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많은 유산들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지만 세계기록유산의 의미를 일반 시민들과 공유하고 어떻게 보존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깊은 관심이 주어지지 않은 […]
모두에게 이로운 정보사회를 위해
주재관 서신 | 유네스코 ‘모두를 위한 정보 사업’(IFAP) 정부간위원회 참가 후기 유네스코는 정보 접근성 확대와 보존, 정보 윤리, 정보 문해 등의 분야에서 정책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개도국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1년부터 ‘모두를 위한 정보 사업’(IFAP)을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한국은 IFAP 사업의 주요 의사결정을 맡는 정부간위원회에서 4년 임기의 위원국 활동을 처음으로 맡았고, 지난달 22일부터 […]
조약 제26호, 「유네스코 헌장」 공포
아카이브 | 기록으로 보는 유네스코와 한국 공식적으로 대한민국은 1950년 6월 14일자로 유네스코에 가입했지만, 그로부터 불과 열흘 남짓 후 한반도가 6·25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이면서 유네스코 헌장 준수에 관한 공식 인준 절차는 뜻하지 않게 연기될 수밖에 없었다. 그로부터 약 2년 뒤인 1952년 11월 10일, 당시 한국의 임시 수도인 부산에서 열린 제2대 국회 제14차 본회의에 유네스코 헌장 준수 […]
“대화와 교류 통해 희망을 이어가기를”
참가후기 | 2020 한일교사대화 온라인 교류 프로그램 지난 2001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과 일본에서 총 2878명의 교직원들이 교류하며 함께 고민을 나눠 온 유네스코 한일교사대화 사업이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10월 11일부터 17일까지 한국과 일본에서 36명의 교육자들이 화상으로 만난 자리에 함께 한 조은경 선생님의 후기를 전한다. 지난 2007년에 처음으로 유네스코 한일교사대화 사업과 인연을 맺은 나는 아직까지도 당시 […]
인권 도시 확산을 위한 협력 기대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 개최 지난달 7일부터 10일까지 나흘간 광주광역시는 유네스코와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UN OHCHR)와 공동으로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을 개최했다. UN 인권기구, 국내외 도시 관계자, 인권단체 등 인권보호 주체 간의 협력을 도모하고 인권에 대한 여러 주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이번 포럼의 이모저모를 신경구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장이 전한다. 예로부터 의향의 고장으로 불려왔던 광주는 학생독립운동을 통해 일제 강점기 시절 불의에 맞서 저항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