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교육(ESD) 로드맵 국문본 출간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작년 12월 유네스코본부가 발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로드맵」(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Roadmap)⸥의 국문본을 발간했다. 오는 5월 베를린에서 열리는 ESD 세계회의에서 출범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ESD 2030) 이니셔티브’의 주안점과 실행방안을 포함하고 있는 이 로드맵은 각국이 보다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조성하기 위해 활동해야 할 5가지 우선 실천 영역과 더불어 향후 10년 동안 ESD 2030을 이행하기 위한 계획을 제시한다. 이 […]
유네스코와 대한민국, 인종주의와 차별 반대 국제포럼 공동개최
유네스코와 대한민국 정부는 지난 3월 22일 국제 인종차별 철폐의 날(3.21)을 맞아 ‘인종주의와 차별 반대 포럼’(Global Forum against Racism and Discrimination)을 공동으로 개최했다. 대면과 비대면 혼합 방식으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오드리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과 안겔 구리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으며, 한국에서는 최종문 외교부 제2차관과 김동기 주유네스코대사, 최영애 국가인권위원장, 임현묵 아태국제이해교육원(APCEIU) 원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인종차별 반대 정책 […]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체력
지속가능발전목표 9번 – 산업, 혁신, 사회기반시설 2015년 유엔은 지구촌 구성원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17가지 목표를 담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채택했습니다. 이 중 9번째 목표는 산업, 혁신, 사회기반시설입니다. 코로나19를 겪으며 일상의 많은 부분이 멈춰 버린 요즘 부쩍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손을 씻는 깨끗한 수돗물, 재택 근무와 원격 수업을 가능케 하는 인터넷과 디지털 환경, 가족이나 친구와 직접 만나지 않고도 […]
1회성 학습 넘어 풀뿌리 환경사랑으로
제천 시민환경지도자대학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및 훈련 활동을 증진하고 다양한 한국형 ESD 실천사례를 발굴하고자 2011년부터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 인증제’를 시행해 오고 있습니다. 매년 유네스코 ESD한국위원회 위원 및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평가단의 심사를 거쳐 ‘ESD 공식프로젝트’로 선정된 모범적인 프로그램들을 지면으로 소개합니다. 환경 관련 교육이 ‘일회성 체험 행사’를 넘어 일상 속 지속적인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은 시민을 대상으로 […]
함께하는 변화, 행복한 우리
인천 인주중학교의 유네스코학교 활동 인천 미추홀구의 인주중학교(교장 이상우)는 2004년 개교 이후 ‘슬기, 사랑, 창의’를 교훈으로 삼고 다양한 학생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9년에 유네스코학교에 가입한 이후, 지난해 코로나19 속에서도 열심히 활동을 펼친 인주중학교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미래선도형 인재를 키워나가기 위해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우리 학교는 마을 교육공동체와 함께 꿈과 끼를 찾는 자기주도적 진로활동과 […]
새로운 비형식 교육의 꽃이 피어날 말라위
2021년 브릿지 2단계 말라위 사업 신규 착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10년에서 2018년까지 진행했던 브릿지 아프리카 말라위 프로젝트의 경험과 교훈을 기반으로 올해 초 브릿지 2단계 말라위 사업에 새롭게 착수했습니다. 동 사업은 말라위 내 교육소외계층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1년 3월, 새롭게 시작한 브릿지 말라위 사업을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전체인구의 27%(2017년 […]
“현장과 본부, 국가와 국가 간 가교 역할에 흥미를 느껴요”
청기백기 인터뷰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국제협력팀 이영은 전문관 이번달 청.기.백.기(청년 기자단의 백 가지 기록) 인터뷰에서 청년기자단이 만나본 사람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국제협력팀의 이영은 전문관입니다. 전 세계 여러 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누고, 서로의 입장을 조율해 나가야 하는 이 팀에서의 일과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근무하고 계신 국제협력팀은 어떤 일을 하는 곳인지 간단히 소개해 주시겠어요? 아시다시피 유네스코는 193개 나라가 […]
‘위안부’ 기록물의 기록유산 등재, 어디까지 왔나?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❶ 우리 모두의 아픈 기억이자 역사를 바로 알리기 위한 소중한 기록인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노력은 일본의 강력한 방해에 직면해 있다. 이 기록물의 등재 노력을 함께 이끌어 온 신혜수 단장이 이번 달부터 그간의 과정과 현 상황, 그리고 기록유산 등재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연재한다. 일본군 ‘위안부’ 제도라는 […]
이 슬픔과 분노로 변화를 만들어 가야할 때
차별 해소 노력 촉구한 에릭남의 『타임』 기고문 지난 3월 16일에 미국 애틀랜타에서 아시아 여성들을 상대로 일어난 잔혹한 테러 사건은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사건 이후 각계각층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심해지고 있는 차별과 증오범죄에 대한 비판과 경고를 보내고 있는 가운데, 유네스코의 활동에 많은 관심과 지지를 보내 온 가수 에릭남(Eric Nam)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을 […]
차별 해소, 약자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것
국가인권위원회 최영애 위원장 사회가 위기에 처할수록, 그리고 민주적인 통치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수록 가장 위협받기 쉬운 것이 인권이다. 코로나19가 촉발한 위기 이후 늘어나고 있는 차별과 혐오범죄에서부터 최근 미얀마 군부의 시민 탄압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인권 보호 의무가 상식에 속하는 오늘날에도 우리는 도처에서 인권의 위기를 목격하고 있다. 최영애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으로부터 오늘날 인권이 갖는 의미와 그 역할에 대해 이야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