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유네스코 한일교직원 온라인 교류 프로그램 참가자 선발 결과
대한민국 교육부와 일본 문부과학성이 지원하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유네스코아시아문화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1 유네스코 한일교직원 온라인 교류 프로그램’에 관심 가지고 참가 신청해주신 모든 선생님들께 감사 인사 드립니다. 최종 참가자 명단은 아래 붙임 파일로 첨부하오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선발되신 선생님들께는 이메일로 프로그램 참가 관련 안내를 드릴 예정이오니 안내문을 숙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 사업개요 1) 사업명: 2020 한일교직원 온라인 교류 프로그램 […]
평생학습 문화 수용하기 (한글판)
유네스코 평생학습원(UNESCO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에서 2020년 발간한 ‘Embracing a culture of lifelong learning’의 한글판입니다. 해당 보고서는 평생학습 2050 비전을 제시하고, 이 비전을 이행하기 위한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설명합니다.
『2021 유네스코 과학보고서』 발간
– 보다 똑똑한 개발을 위한 시간과의 경주’ 주제로 전세계 동향 소개– 과학자수 늘고, AI 및 로봇공학분야 연구 증대된 반면, 과학분야 연구 투자, 오픈액세스, 성평등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0월 국문 요약본 발간 예정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한경구)는 6월 11일 『유네스코 과학보고서』(UNESCO Science Report)가 발간되었다고 밝혔다. 유네스코는 전세계 과학기술혁신(STI) 거버넌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세 차례 […]
세계 해양의 날 (6월 8일)
지구와 우리 몸은 중요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약 70%가 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바다가 지구 표면의 약 71%를 차지하고 있기에 우주에서 촬영한 지구 역시 푸른 바다 색깔입니다. 우리 몸속의 수분이 부족해지면 생명이 위험해지듯, 지구 역시 바다가 건강하지 못하면 그 위에 사는 모든 생명체도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바다는 생물 다양성의 보고로 모든 생물의 삶과 건강에 […]
유네스코 오픈사이언스 권고 초안 검토를 위한 정부간 특별위원회 회의 개최
유네스코는 5월 6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오픈사이언스 권고 초안에대한 회원국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유네스코 오픈사이언스 권고초안 검토를 위한 정부간 특별위원회 회의’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유네스코는 이번 회의에서 확정된 권고 최종안을 오는 11월 유네스코 제41차 총회에서 채택할 예정이다. 샤밀라 네어 베두엘레 유네스코 자연과학 사무총장보는 폐회식에서 유네스코가 회원국마다 다양한 입장차에도 불구하고 ‘대화’를 통해 합의에 도달했음을 강조하며 토론장으로서 유네스코의 역할을 […]
2021 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 국제기념일 캠페인 ‘평화를 읽다’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전국 592개 유네스코학교를 대상으로 5-6월 두 달간 ‘2021 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 국제기념일 캠페인 〈평화를 읽다〉’를 실시한다. 이번 캠페인은 ‘발전과 대화를 위한 세계 문화다양성의 날’(5월 21일)과 ‘세계 환경의 날’(6월 5일)을 유네스코학교 학습 주제인 ‘문화다양성’과 ‘지속가능발전’과 연계해 마련됐으며, 각 학교별로 학사 일정에 맞춰 자율적으로 캠페인을 실시한다. 참가 학생들은 제시된 국제기념일 중 원하는 기념일을 선택해 추천도서를 읽은 뒤 ▲200자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제8차 임시총회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5월 20일 제8차 임시총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정종철 부위원장(교육부 차관)이 주재한 이번 총회는 2020년도 결산과 사업실적 의결, 부위원장 및 집행위원 선출 등의 안건을 처리했다. 당연직 부위원장 4인 외 총회에서 선출하는 부위원장으로 김은미 위원(이화여대 총장)이 선출됐으며, 강대중, 우경식, 박경립, 강경숙, 이선경, 김옥주, 이유미, 김유경, 서경호, 강순원 위원 등 10인이 집행위원으로 선출됐다. 박재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년기자단
유네스코 인공지능 윤리 권고 초안 협의를 위한 정부간 특별전문가위원회 개최
유네스코는 4월 26일부터 30일까지 ‘인공지능(AI) 윤리에 관한 권고 초안 검토를 위한 정부간 특별전문가위원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유네스코는 인류가 AI를 평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사용하고 AI 기술로부터 파생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AI윤리 권고를 준비하고 있다. 회원국 간 논의가 길어지면서 이번에 미처 다루지 못한 내용은 오는 6월 중 개최될 2차 정부간회의에서 검토할 예정이며, 권고 […]
2021년 유네스코 석좌/유니트윈 네트워크 회의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4월 29일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에서 ‘2021년 유네스코 석좌/유니트윈 네트워크 회의’를 개최했다. 숙명여자대학교를 비롯한 8개의 국내 유네스코 석좌/유니트윈 기관 실무자 등 25명이 참석한 이번 회의는 국내 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력을 증진하고 유네스코 사업 참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참석 기관들은 2020년도 사업성과와 2021년도 사업계획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업 방안 등을 발표했고, 고등교육 분야에서 […]
나의 소비 선택으로 이루는 지속가능한 미래
지속가능발전목표 12번 – 책임있는 소비와 생산 2015년 유엔은 지구촌 구성원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17가지 목표를 담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채택했습니다. 이 중 열두 번째 목표(SDG12)는 책임있는 소비와 생산입니다. 미국에서 매년 추수감사절 직후의 금요일인 ‘블랙 프라이데이’는 연중 최대·최고의 세일 시즌이 시작되는 날로 세계적으로도 유명합니다. 하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쇼핑에 열을 올리는 이날을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Buy Nothing Day)로 정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