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만들어 가는 나눔 활동의 가치
용연초등학교 유네스코 활동 및 후원 2009년 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에 가입한 용연초등학교는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들이 각기 다양한 활동을 계획해 유네스코의 이념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그 활동 내역과 후원 이야기를 교내 유네스코학교 담당 교사가 전합니다. 필자는 3년 전 본교에 부임한 이후 유네스코학교에 대해 알게 되었고, 우리 학교의 유네스코 활동이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교육적 효과가 적지 않다는 데 […]
교육이라는 선물
브릿지 연차보고서 소개 만화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을 달성하기 위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운영하고 있는 브릿지 사업의 현황을 소개하는 연차보고서가 발간됐다. 아시아 및 아프리카 각지의 사례와 그 성과를 담은 보고서의 내용이 궁금하다면, 먼저 이 만화를 한번 읽어보자. 2020 브릿지 프로그램 연차보고서 다운로드
더불어 성장하는 교사 교육의 장
사단법인 호이의 ‘STIC’ 프로그램 2011년 유네스코 ESD 공식프로젝트로 인증받은 단기집중교사연수 프로그램인 ‘STIC’(스틱)은 2009년 케냐 코어 지역에서 처음 시작해 현재 우간다 굴루 지역의 교사들과 한국의 교사들을 이어주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한국과 개발도상국이 함께 성장하는 건강한 교육생태계를 지향하는 교육전문 NGO 호이의 대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인 STIC(Short-Term Intensive Course for school teachers, 단기집중교사연수)은 한국의 현직 교사들이 주도적으로 […]
“나 자신과 유네스코를 더 사랑할 수 있었던 시간”
청기백기 인터뷰 | 202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년기자단 일동 이번달 청.기.백.기(청년 기자단의 백 가지 기록)에서는 올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홍보 활동과 『유네스코뉴스』 청년기자단 지면 제작에 참여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친 네 명의 청년기자(기경민, 박재환, 정한비, 이민주)들이 그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는 소감을 셀프인터뷰 형식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청년기자단으로 활동한 네 분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경민 평소에 문화유산에 관심이 많아 유네스코에도 관심을 갖게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욱 빛날 유네스코의 가치와 정신
제41차 유네스코 총회 현장 이모저모 팬데믹 상황에서 75번째 생일을 맞이한 유네스코는 지난 10월에 열린 집행이사회와 이번 제41차 유네스코 총회를 대면으로 개최했습니다. 오랜만에 한 자리에 모인 회원국 대표와 여러 관계자들로 활기가 넘쳤던 파리 유네스코 본부 현장의 분위기를 독자 여러분께 전합니다. 제41차 총회를 맞아 유네스코 본부의 국기 게양대에 193개 회원국의 깃발이 나부끼는 가운데, 창립 75주년을 기념한 라이트쇼까지 […]
예술과 역사가 공존하는 도시, 광주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광주 광주는 과거와 미래가 대화하며 고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도시다. 도시를 따라 걷기만 해도 미디어 아트에 영감을 얻고, 동시에 반드시 기억해야 할 아픈 역사를 마주하게 된다. 내일의 예술을 발견하는 여행, 광주아트플랫폼 빛고을 광주 하면 머릿속에 떠오르는 단어가 몇 가지 있다. 광주비엔날레, 광주 폴리,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그중 가장 호기심이 이는 수식어는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다. […]
2021 Bridge Conference Program Book / 2021 브릿지 컨퍼런스 프로그램 자료집
2021년 11월 30일 부터 12월 1일까지 개최된 <2021 브릿지 컨퍼런스: 비형식교육의 현재와 미래 - 코로나 환경 하 취약계층 교육권 강화를 위한 비형식교육의 역할> 발표 자료집
팬데믹 속 열띤 논의, 평생학습 길잡이 역할로 이어지길
제5차 유네스코 학습도시 국제콘퍼런스(ICLC) 제5차 유네스코 학습도시 국제콘퍼런스(ICLC)가 지난 10월 27일부터 30일까지 인천시 연수구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렸다. 64개국 229개 유네스코 글로벌학습도시 네트워크(GNLC) 회원도시장과 관계자가 포함된 2300여 명의 참가자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대응을 넘어 새로운 도약으로-학습을 통한 건강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 구축’이라는 주제로 코로나19 시대의 평생학습과 도시의 역할을 고민했다. 유네스코 학습도시 국제콘퍼런스(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Cities, ICLC)는 […]
인간과 자연의 공존 위한 새로운 도약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MAB) 프로그램 50주년 기념식 및 심포지엄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MAB한국위원회는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의 후원을 받아 2021년 11월 3일 서울 명동 로얄호텔에서 ‘유네스코 MAB 50주년 기념식 및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MAB, 삶을 얘기하다’라는 주제로 MAB 50주년을 축하하고 그 성과를 공유하면서, 자연 보전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MAB 활용 방안 및 추진 과제를 논의했다. 제주 속담 중에 […]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을 위한 중요한 도구
출범 50주년 맞은 인간과 생물권(MAB) 프로그램 올해는 유네스코의 인간과 생물권(MAB) 프로그램이 출범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 자연을 그저 보살핌의 대상으로서만 여기던 기존의 개념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전체의 일부이자 핵심 구성 요소로서 인간과 자연을 함께 놓고 공존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자 하는 이 프로그램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본다. 자연보호의 아이디어에 ‘인간’을 추가하다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출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