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유네스코-러시아 멘델레예프 국제 기초과학상 후보자 접수
유네스코는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기초과학 분야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유네스코-러시아 멘델레예프 국제 기초과학상’ 후보자를 3월 15일까지 추천받는다. 원소 주기율표를 창안한 러시아 과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를 기리기 위해 러시아의 재정 지원으로 제정된 이 상은 2021년부터 기초과학 분야의 우수 연구자, 기초과학 교육 및 대중화, 국내외 협력 활동에 기여한 과학자 2명에게 매년 시상되고 있으며, 특히 여성과학자를 우대한다. 신청서류는 자기소개서, 이력서, […]
2022년도 『문화다양성협약 세계 보고서』 출간
▶보고서(영문) 다운로드 유네스코가 세계의 공공재 시각에서 문화의 가능성을 조망하고 각국의 예술 및 문화 산업 정책들을 폭넓게 다룬 문화다양성협약 세계 보고서 『Reshaping Policies for Creativity: Addressing Culture as a Global Public Good』(창의성을 위한 정책의 재구성: 세계의 공공재 시각에서 본 문화)을 발간했다. 유네스코는 지난 2005년 채택된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협약」에 대한 모든 참여 주체들의 […]
제15차 문화다양성협약 정부간위원회 개최
제15차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협약 정부간위원회가 2월 8일부터 11일까지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본부에서 열렸다. 카타르가 의장국을 맡아 주재한 이번 회의는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회의 방식으로 열렸으며 24개 위원국 시민사회기구 대표 등 옵서버가 참가해 2021년 사무국의 위원회 활동 및 이행사항 보고, 문화다양성기금 예산안 심의 등 15개 의제를 논의했다. 우리나라 대표단은 “대한민국이 의장국을 맡은 14차 […]
2022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년기자단 임명식
2022년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년 기자단 임명식이 2월 14일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에서 열렸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임명된 기자단 4명(서지선, 손효민, 송현지, 이유정)은 올 한 해동안 유네스코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활동을 온·오프라인에서 홍보하기 위한 콘텐츠를 Z세대의 감각으로 만들 예정이다. 기자단이 제작하는 콘텐츠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
『2021 대한민국 SDG4 이행현황 보고서』 출간
▶보고서 내려받기 교육부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국내 9개 교육분야 전문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SDG4-교육2030협의체 활동의 일환으로 『2021 대한민국 SDG4 이행현황 보고서』를 출간했다. 2021년 국내·외 교육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4) 관련 주요 동향 및 SDG4 세부목표별 대한민국의 이행현황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이번 보고서는 유엔의 ‘SDGs 이행의 10년’에 동참하기 위해 2030년까지 매년 출간될 예정이다.
유네스코 오픈사이언스 및 인공지능 윤리 권고 인터뷰 영상 제작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21년 11월 제41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오픈사이언스 권고」와 「인공지능 윤리 권고」를 만드는 과정에 참여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신은정 박사와 이상욱 한양대 교수의 인터뷰 영상을 제작했다. 정보 및 지식의 개방에 관한 「오픈사이언스 권고」와 인공지능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윤리적 지침을 담은 「인공지능 윤리 권고」의 필요성과 두 권고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전문가의 통찰이 담겨 있는 이들 영상은 […]
후원은 나눔을 통한 성장을 경험하는 기회입니다
채승훈 후원자 6년 동안 동생과 함께 꾸준히 나눔을 이어온 후원자가 있습니다. 중학생 시절, 초등학생이었던 동생과 함께 중고 서점을 이용하며 용돈을 절약해 모은 돈으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 후원을 시작한 이후, 가족과 함께 다양한 봉사와 후원활동을 해오면서 법조인의 꿈을 꾸고 있는 채승훈 후원자를 만나 보았습니다. ― 반갑습니다. 먼저 동생과 함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후원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를 알기 […]
어둠을 밝힐 교육이라는 등불
브릿지 스리랑카 프로젝트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14년부터 스리랑카 국립교육원과 함께 브릿지 스리랑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열린학교 프로그램’(Open School Programme)으로 2015년도 세종문해상을 수상하며 꾸준히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비형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온 스리랑카 국립교육원과 함께하는 브릿지 스리랑카 프로젝트의 도전은 팬데믹 속에서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의 여러 국가에서 펼쳐지는 브릿지 사업은 비형식교육을 통한 교육 접근성 확대라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
시민의 집단지성으로 지속가능발전의 씨앗 뿌리기
당진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속가능발전시민학교와 작은워크숍 충청남도 당진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지속가능발전시민학교’와 ‘작은워크숍’은 모든 시민들이 지속가능발전의 주체로 성장하게 하는 학습의 장을 열고 있습니다. 2019년 ESD 공식프로젝트로 선정되어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이들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지속가능한 도-농 복합도시를 꿈꾸며 당진시는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수립되기 한 해 전인 2017년에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지속가능한 당진’이라는 지속가능발전 비전과 당진형 SDGs를 민-관이 협력하여 만든 바 있습니다. 17만 명밖에 되지 […]
집단 지성과 행동, 그리고 파트너십이 유네스코 활동의 핵심입니다
유네스코프랑스위원회 활동 탐방 유네스코와 프랑스의 인연은 조금 특별합니다. 유네스코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있고,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도 프랑스인이지요. 이는 유네스코의 193개 회원국 국가위원회 중 하나인 유네스코프랑스위원회에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까요?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걸어서 15분 거리에 있는 유네스코프랑스위원회를 한번 방문해 보았습니다. 유네스코프랑스위원회(이하 프랑스위원회)를 찾은 이른 아침, 알렉산드르 나바로(Alexandre Navarro) 사무총장이 환한 미소로 필자를 맞았습니다. 나바로 사무총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