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협력사업팀
한국 사회는 1990년대 이래 국내 거주 외국인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자라나는 미래세대가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1998년 ‘외국인과 함께하는 문화교실’(Cross-Cultural Awareness Programme:CCAP)을 시작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으로 진행하는 이 프로그램은 주한외국인이 한국인 통역자원활동가(Korean Interpretation Volunteer: KIV)와 함께 국내 초·중·고등학교를 방문하여 자국의 문화와 역사, 생활과 풍습을 소개하는 수업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다. CCAP는 학생들의 문화간 이해 능력을 증진뿐만 아니라 자원활동가로 참여하는 주한외국인들에게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와 소속감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CCAP의 활동 목적을 다음 세 가지로 명시했다.
첫째, 세계화 시대에 알맞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우리 청소년들의 이해를 형성한다.
둘째, 국적과 문화가 다양한 참가자 모두에게 상호문화에 대한 존중과 관용의 정신을 함양하고 문화간 이해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주한 외국인들에게 한국 문화 및 사회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CCAP의 특징은 학생들에게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 다른 나라 사람들을 열린 마음으로 대할 수 있는 태도를 키우도록 하는 것이며, 수업 내용도 단순한 강의 형식에서 벗어나 외국인 문화교류자원활동가(Cultural Exchange Volunteer: CEV)가 학생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흥미롭고 활동적이 내용이 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CCAP를 학교 교육과정 내범교과학습으로 실시하여 국내 교육현장에서 유네스코의 국제이해교육 및 다문화교육의 실천적인 모델을 제시해왔다.
실시 첫 해인 1998년에는 주한 캐나다대사관, 호주대사관, 일본문화원 등 주한 외국공관들의 후원하에 서울지역 35개 학교(초등 9개교, 중등 19개교, 고등 7개교)에서 32개국 58명의 CEV가 28명의 KIV와 함께 80여회의 문화교실 수업을 진행했다. 이후 참가학교와 외국인 자원봉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호응에 힘입어 CCAP 수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2000년부터는 CCAP의 전국적 확대와 지역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CCAP 협력기관을 지역별로 지정하여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지역운영기관은 부산 해운대교육청을 시작으로 2012년 현재 14개 지방 교육청, 대학교, 유네스코협회 및 시민단체 등이 지역특성과 맥락에 따라 특성화된 CCAP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2012년 현재 CCAP는 외국인 문화교류자원활동가(CEV) 300명, 한국인 통역자원활동가(KIV) 300명, 학생 4만 2천명이 참가한 가운데 전국 372개교에서 약 1,500회 정규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CCAP의 양적 증가와 전국적인 확산은 국내 다문화교육 및 국제이해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현재 유사한 형식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들이 CCAP를 벤치마킹하여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으며, 개인 연구자들의 논문에도 다문화교육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CCAP가 빈번히 인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서 프로그램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 현재 CCAP가 마주하고 있는 주요한 도전이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CCAP 사업의 지역특성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올해는 CCAP가 지역을 중심으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기존의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한국 유네스코협회연맹 등 지역운영기관에 이관할 계획이다.이 과정에서 기존 지역에 빚어질 수 있는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차례의 현장간담회를 통해 지역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또한『CCAP 운영가이드북』을 발간하여 잠재적인 지역운영기관 및 학교를 위한 사업 매뉴얼을 제공하기도 했다. 한편, 15년간 한국사회에서 CCAP 사업이 남긴 기록과 성과를 정리하기 위해『CCAP 15년 운영백서』를 제작하여 내년 1월에 배포할 예정이다.
시기별 CCAP 중점 방향
CCAP 수업 통계
수업횟수 | 참가학교 | 지역운영기관 | 외국인 자원활동가 | 한국인 자원활동가 | |
1998년 | 80 | 35 | 1 | 58 | 28 |
1999년 | 456 | 109 | 2 | 114 | 104 |
2000년 | 462 | 107 | 2 | 89 | 110 |
2001년 | 520 | 125 | 5 | 115 | 123 |
2002년 | 520 | 90 | 8 | 106 | 113 |
2003년 | 497 | 98 | 8 | 113 | 137 |
2004년 | 805 | 130 | 12 | 197 | 171 |
2005년 | 721 | 137 | 12 | 203 | 221 |
2006년 | 958 | 156 | 11 | 227 | 203 |
2007년 | 879 | 159 | 14 | 268 | 273 |
2008년 | 1,002 | 261 | 12 | 328 | 300 |
2009년 | 1,034 | 243 | 12 | 336 | 277 |
2010년 | 1,006 | 290 | 16 | 420 | 329 |
2011년 | 1,341 | 359 | 16 | 430 | 317 |
2012년(상반기) | 795 | 372 | 14 | 354 | 2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