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Journal 2014년 가을호(54권 3호)가 발간되었다. 이번 호에는 지난 2년간 Korea Journal에 투고된 논문 가운데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여섯 편의 논문과 두 편의 서평이 실렸다.
한스 샤틀의 논문은 한국인들이 세계 시민의 개념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공적 담론을 살펴본다. 이는 미국에서 애국주의 대 세계주의 관점에서 펼쳐진 마사 누스바움과 그의 비판론자 간의 열띤 토론과 병치되어 분석된다.
윤종필, 박현숙의 논문은 19세기 후반 영국 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모습을 통해 그 당시 영국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며, 그 왜곡된 이미지의 기원을 그 당시 오리엔탈리즘 및 일본과 중국에 대해 가지고 있던 편견을 적용하여 바라본 영국의 서구중심주의적인 시각에서 찾는다.
김지원의 논문은 1905년에서 1920년까지 한국인 이민자들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사회경제적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요인으로서 ‘쌀농사’의 역할을 살펴보며 그 당시 정치적, 경제적 배경 등을 분석한다. 또한, 이 시기의 한국인 이민자들이 사회적∙법적 차별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했고 경제적 지위 상승을 추구했다는 점 등을 성공적인 사회 정착의 요소로 꼽는다.
윤홍식의 논문은 여성의 추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가 대부분 그 이유를 사회적 지원의 부족에서 찾은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추가출산 등의 가족계획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내와 남편 간 공정한 가사 및 육아 노동 분담뿐만 아니라 남아선호 및 비싼 교육비 등 한국 사회 특수성 등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사회적 지원과 가사노동 분담 중 양자택일의 해결방식으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결론 짓는다.
김종복의 논문은 신라, 발해, 당나라간의 외교관계를 바탕으로 세 국가가 인접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세 국가 사이에 위치한 ‘안동 도호부’의 완충 효과에서 찾는다.
이영호의 논문은 1894년에서 1910년 사이에 일제가 어떻게 당시 국내 자발적인 토지 개혁제도를 이용해 식민지 토지법을 제정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며, 현대적 토지 소유권이라는 개념의 정착을 통해 다중 소유된 토지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역사적 배경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 밖에도, 근대 한국에서의 역사기술과 민족주의의 발전을 다룬『The Great Enterprise: Sovereignty and Historiography in Modern Korea』 와 제주 4.3 사건의 비극에 대해 알리고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을 요구해온 노력의 기록인 『The Massacres at Mt. Halla: Sixty Years of Truth』의 서평이 실렸다.
이번 호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연구논문
Hans SCHATTLE l Mediating Love of Humanity, Love of Country, and Love of Culture: A Comparison of Normative Debates on Global Citizenship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ng-pil YOON and Hyun-sook PARKㅣAn Unfamiliar Other within the Uncivilized Other: Korea as Depicted by Late Nineteenth-
Century British Newspapers
Jiwon KIM l Korean Immigrants’ Socioeconomic Adjustment in California (1905-1920): Participation in Rice Farming and Subsequent Advancement during the World War I Rice Boom
Hongsik YOON ㅣFactors that Affect Women’s Intentions to Have Additional Children: The Role of the State, Market, and Family
KIM Jong-bok ㅣ A Buffer Zone for Peace: Andong Protectorate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illa, Balhae, and Tang in the 8th to 10th Centuries
LEE Young-ho l Land Reform and Colonial Land Legislation in Korea, 1894-1910
서평
Namhee LEE ㅣThe Great Enterprise: Sovereignty and Historiography in Modern Korea By Henry Em
Mark E. CAPRIO l The Massacres at Mt. Halla: Sixty Years of Truth By Hun Joon Kim
Korea Journal 웹사이트 : http://www.ekoreajourna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