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결정

국보로 지정된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가 ‘반구천의 암각화’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현지시간 7월 12일 오전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지난 2010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이후 15년 만에 최종등재 됐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 등 총 17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보유국이 되었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는 국보로 지정된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를 포함하는 단일 유산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시대 사람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며 ▲ 선사시대부터 6천 여 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하여 보여준다고 평가하였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세계유산센터에 보고할 것 ▲ 반구천 세계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할 것 ▲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주민들의 역할을 공식화할 것 ▲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계획에 대해 세계유산센터에 보고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국가유산청,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인 울산광역시가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이다.
울산 울주 반구천 일원은 굽이치는 물길로 인해 수많은 절벽과 협곡, 습지가 풍부한 천혜의 지형이 특징이다. 국가유산청은 이 일대를 명승으로 지정하면서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지명인 ‘반구천’(盤龜川)이라는 이름을 채택했다. 현재의 공식 지명은 ‘대곡천’이다.
한편,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지난 2023년 3월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위원이던 국회의원 이상헌 의원실과 공동으로 ‘대곡천(반구천) 암각화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국회 포럼’을 공동개최한 바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현황 I 2025. 7월 현재
연번 | 등재 목록 | 등재일 | 비고 |
1 | 석굴암·불국사 | 1995.12.9. | 문화유산 |
2 | 해인사 장경판전 | 1995.12.9. | 문화유산 |
3 | 종묘 | 1995.12.9. | 문화유산 |
4 | 창덕궁 | 1997.12.6. | 문화유산 |
5 | 화성 | 1997.12.6. | 문화유산 |
6 | 경주역사유적지구 | 2000.12.2. | 문화유산 |
7 |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 2000.12.2. | 문화유산 |
8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 2007.7.2. | 자연유산 |
9 | 조선왕릉 | 2009.6.30. | 문화유산 |
10 |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 2010.7.31. | 문화유산 |
11 | 남한산성 | 2014.6.22. | 문화유산 |
12 | 백제역사 유적지구 | 2015.7.8. | 문화유산 |
13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 2018.6.30. | 문화유산 |
14 | 한국의 서원 | 2019.7.10. | 문화유산 |
15 | 한국의 갯벌 | 2021.7.31. | 자연유산 |
16 | 가야고분군 | 2023.9.24. | 문화유산 |
17 | 반구천의 암각화 | 2025.7.16. | 문화유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