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문해의 날(매년 9월 8일)을 맞아 유네스코 본부(프랑스 파리)에서 2025년 기념행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해상 시상식이 열렸다. 이번 행사에는 유네스코가 운영하는 두 개의 문해상(세종대왕문해상과 공자문해상) 수상자들을 축하하기 위해 유네스코 교육 사무총장보, 세계문해상 심사위원장, 각국 유네스코 대표부가 참석했으며, 시상식은 온라인으로 생중계되었다.

세종대왕 문해상은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으로 1989년에 제정되어 1990년부터 2024년까지 총 70명이 수상했다. 이 상은 유네스코 회원국 및 유네스코와 공식 관계를 맺고 있는 국제 비정부기구 가운데, 문해력 증진과 특히 개발도상국 모어(母語) 발전·보급에 크게 기여한 개인/단체/기구를 대상으로 한다. 매년 국제 심사위원단이 3건의 기관 또는 개인을 수상자로 선정하여 상장과 함께 상금 미화 2만불 달러를 수여한다. 역대 수상자 명단 바로보기
‘디지털 시대의 문해력 증진’을 주제로 한 2025년 세종대왕 문해상은 총 53개국에서 97건이 접수되어, 전년대비 13건이 증가하여 최근 3년간 추세를 뛰어넘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접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올해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과 함께 오랜만에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수상자가 배출되었다.
올해 수상 단체는 다음과 같다. 브로슈어 바로보기
- (에콰도르) 비판적 인식과 삶, 지구를 위한 돌봄 촉진하는 문해력 프로그램 – 에콰도르 연구·교육·홍보연구소(INEPE)
- 교육부와 협력하여 아이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기반 접근법을 통해 참여적 학습과 지역사회의 연대를 촉진한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약 2,000명의 학습자(50% 이상 여성·여아 포함)가 참여했다. 이 프로그램은 디지털 문해력 강화는 물론 비판적 사고, 환경 인식, 문화적 정체성 함양까지 확장한다.
INEPE in Ecuador is awarded 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2025
- 교육부와 협력하여 아이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기반 접근법을 통해 참여적 학습과 지역사회의 연대를 촉진한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약 2,000명의 학습자(50% 이상 여성·여아 포함)가 참여했다. 이 프로그램은 디지털 문해력 강화는 물론 비판적 사고, 환경 인식, 문화적 정체성 함양까지 확장한다.
- (세네갈)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해력 프로그램 – 세네갈 교육부 소속 문해력 및 국가언어기구
- 시각장애인을 위해 역량기반접근을 통해 국가 언어를 브라유 점자로 변환하고, 보조기술을 활용해 문해·수리 능력 및 디지털 기초 역량을 향상시킨다. 2016년 시작 이래 2022~2024년 동안 600명 이상이 수료했으며, 2033년까지 2,250명 교육과 6개 지역 센터 설립을 목표로 한다. 또한, 개인 맞춤형 학습을 위한 AI 기반 음성 인식, 적응형 직업훈련, 포용적 문해 교육을 위한 국가 관측소 설립도 추진 중이다.
The Directorate of Literacy and National Languages of Senegal is awarded 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2025
- 시각장애인을 위해 역량기반접근을 통해 국가 언어를 브라유 점자로 변환하고, 보조기술을 활용해 문해·수리 능력 및 디지털 기초 역량을 향상시킨다. 2016년 시작 이래 2022~2024년 동안 600명 이상이 수료했으며, 2033년까지 2,250명 교육과 6개 지역 센터 설립을 목표로 한다. 또한, 개인 맞춤형 학습을 위한 AI 기반 음성 인식, 적응형 직업훈련, 포용적 문해 교육을 위한 국가 관측소 설립도 추진 중이다.
- (태국) 장애학생을 위해 문해력 격차 해소 프로그램 – 국가과학기술개발청(NSDTA)
-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전자 출판물, 수화 통역, 자막, 오디오 설명 등 접근 가능한 다양한 학습 자원을 제공하며 공평한 문해력을 촉진한다. 2022년 시작 이후 10,000여 개의 접근형 자료를 발간했으며, 2023~ 2024년 사이 9만 명 이상(30% 이상 여성·여아 포함)이 참여했다. 향후 AI 통합과 학습자료 확대로 더욱 폭넓은 지식 자원을 제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평생학습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역동적, 포용적, 적응력있는 플랫폼 개선을 지향한다.
NSDTA in Thailand is awarded the 2025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전자 출판물, 수화 통역, 자막, 오디오 설명 등 접근 가능한 다양한 학습 자원을 제공하며 공평한 문해력을 촉진한다. 2022년 시작 이후 10,000여 개의 접근형 자료를 발간했으며, 2023~ 2024년 사이 9만 명 이상(30% 이상 여성·여아 포함)이 참여했다. 향후 AI 통합과 학습자료 확대로 더욱 폭넓은 지식 자원을 제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평생학습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역동적, 포용적, 적응력있는 플랫폼 개선을 지향한다.
유네스코는 이번 수상자 선정을 통해 전통적 문해력을 넘어 디지털 시대를 위한 비판적 사고와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수상자들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초청으로 한글날 경축식에 참석하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등 국내기관들을 방문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유네스코 세계 문해의 날 홈페이지, 세계문해상 홈페이지, 그리고 UNESCO ILD 2025 Factsheet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