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금 1.3억여원, 역대 수상자 중 3명은 노벨상 수상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김광호)는 유네스코(프랑스 파리 소재)가 전세계적으로 뛰어난 여성과학자에게 수여하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후보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여성과학자의 성취를 격려하고 지원하기 위해 1998년부터 매년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수여해오고 있는 유네스코는 물리학, 수학, 컴퓨터과학 분야의 뛰어난 여성과학자를 대상으로 5월 31일까지 추천을 받는다. 신청서류는 주요 업적 기술서, 간행물 및 특허 목록, 중요한 출판물 목록 10가지, 추천서 3~5통 등이며, 온라인 플랫폼에 직접 제출 가능하다.
아프리카·아랍, 아시아·태평양, 유럽, 중남미, 북미 등 지역별 1명씩 선정되는 총 5명의 최종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10만 유로(1.3억여원)가 수여된다. 시상식은 2021년 3월에 개최될 예정이다.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은 지금까지 전세계 여성과학자 112명이 수상하였으며, 이 중 이스라엘의 아다 요나스(Ada Yonath) 박사와 미국의 엘리자베스 블랙번(Elizabeth H. Blackbun)박사는 2009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바 있으며, 1995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받은 독일의 크리스티안 뉘슬라인-폴하트(Christiane Nüsslein-Volhard)박사도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의 유명희 박사와 서울대학교 김빛내리 교수가 각각 1998년과 2008년에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서는 코로나19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과학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전세계간 과학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번 후보자 추천에 여성 과학계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하였다.
참고자료 1. 유네스코 로레알 세계 여성 과학자상 공모 규정(영문) 별첨
참고자료 2. 유네스코 로레알 세계 여성 과학자상 개요
1) 소개
유네스코에서 전 세계 저명한 과학계 여성을 지원하기 위해 1998년부터 선정 및 시상하였으며, 아프리카, 아랍, 아시아와 태평양, 유럽,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북아메리카 등 전세계 5개 권역별 각1명씩 총 5명을 선정, 수상자들에게 각각 10만 유로의 상금 수여함.
2) 자격조건
국제 과학계에서 과학적 우수성을 인정받아야 하며, 생명학 또는 물리학(격 년 적용, 2021년은 물리학 해당),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의 연구에 적극적 참여한 자, 연령 제한 없음.
3) 선정 기준
과학분야 탁월한 기여, 과학 분야에 미치는 영향(출판, 회의발표, 특허의 수, 품질 및 영향), 동료들에 의한 인정, 후보자의 활동 또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활약 등
4) 수상자 선정
사전 심사에 의해 5개 권역별 10명 안팎의 후보(총 50명 이하)로 최종 후보군 결정 후 여성 배심원단에 의한 최종 심사 및 토론 후에 5명의 수상자 선출
• 배심원단 구성: 스위스 취리히대학 아르투르 아빌라 교수가 위원장으로 국제 과학계의 저명인사로 구성.
※아르투르 아빌라 코데이로 드 멜로 교수는 브라질 출신 수학자로, 중남미 최초로 2014년 필즈상(4년마다 개최되는 세계수학자대회에서 40세 미만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을 수상한바 있다.
5) 2021년 로레알 세계 여성 과학자상 시상 일정
공모: 2020.5.31. / 사전심사: 6월 초~7월 초 / 배심원 심의회: 9월 중순 / 시상식: 2021.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활동에 관한 법률에 따라 1954년에 설립된 유네스코국가위원회다. 국내외 교육, 자연과학, 인문사회과학, 문화, 정보커뮤니케이션 및 청년, 학생, 교사, 국제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유네스코(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유네스코는 세계 평화와 인류 발전 증진을 목적으로 교육, 과학, 문화 등 지적 활동 분야에서의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1945년 창설된 유엔 전문기구다.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업 담당: 과학청년팀 / 양신옥 전문관 / 02-6958-4164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홍보 담당: 커뮤니케이션팀 / 김영은 팀장/ 02-6958-4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