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방콕사무소는 2011년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 보존상’을 공모한다. 무분별한 개발과 무관심으로 인해 사라져가는 건축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이 상은 올해로 12회를 맞으며, 아시아 지역의 대표적 문화유산보존상으로 성장해왔다. 특히 민간 부문의 자발적인 역사유적 보호 사업을 진흥하기 위해 제정된 이 상은 민간 부문에서 개인 또는 단체가 수행한 사업 및 관민 협력 사업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정부가 전적으로 재원을 부담했거나 추진한 사업은 제외된다.
(2009년 우수상을 수상한 서울시의 북촌 가꾸기 사업)
신청대상은 주요구조물이 50년 이상 된 주거 건물, 상업 건물, 문화적 • 종교적 건물, 산업 건물, 교육 적 건물, 정원, 다리 등으로서 최근 10년 안에 보존이나 복원사업을 완료하고 1년 이상 사용된 것이어야 한다. 보존사업이 해당 지역과 건축물의 역사성을 얼마나 충실히 살렸는가와 적정한 보존 및 복원작업기술, 자재 사용, 지역사회 기여도 등이 주요심사기준이다.
이와 별도로, 2005년부터는 현대적 건축 디자인이 우수하고, 주변지역의 역사적 맥락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혁신 심사위원상’을 수여하고 있다.
건물 및 토지 소유자, 임차인, 건축가, 설계자 등 보존 사업에 참여한 개인 또는 단체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복수 신청도 가능하다. 공식 신청서와 드로잉, 사진 및 보존사업 설명서 등은 2011년 3월 31일까지 유네스코 방콕사무소로 제출해야 하며, 제출된 후보작들은 유네스코가 선정한 건축 및 문화유산 분야 전문가 10여 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심사되어 2011년 9월 유네스코 방콕사무소에서 최종 발표한다.
2010년 보존상에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14개국이 보존사업 33건을 제출했다. 이 가운데, 최우수상은 싱가포르의 홍산시 사원 복원 사업이 선정됐으며, 한국에서는 2009년 서울시 북촌 가꾸기 사업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보존상’ 우수상에 선정된 바 있다.
– 개 요 –
□ 시상분야
○ 문화유산 보존 분야(역사유적)
– 최우수상 / 우수상 / 장려상 / 특별상
○ 현대건축디자인 분야
– 혁신 심사위원상 : 2005년 제정 / 건축디자인이 우수하고 주변의 역사적 맥락과 조화를 이루는 현대 건축물
○ 시상규모는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 신청자격
○ 건물 및 토지 소유자 또는 임차인, 보존사업 자문인, 건축가, 디자이너 등 보존사업에 관여한 모든 개인 및 단체
○ 민간 혹은 민간과 공공부문이 공동으로 추진한 사업이어야 하며, 정부가 전적으로 예산을 부담하거나 추진한 보존사업은 제외
○ 복수신청 가능
□ 신청대상
○ 문화유산보존 분야
– 50년 이상 된 건축물로서 최근 10년 이내(2000. 11월 ~ 2010. 10월) 복원사업을 완료하고, 최소한 1년 이상 사용 중인 건축물
– 주택, 상업, 문화, 종교, 산업, 행정 건물 및 정원, 다리 등이 포함되며, 핵심지역이 50년 이상 된 역사도시, 도시구역, 전원마을도 해당됨
○ 혁신 심사위원상 분야
– 주요부분이 50년 이상 된 대규모 보존사업지역 내 또는 그 사업의 일환으로 신축된 건축물로서 최근 10년 이내(2000. 11월 ~ 2010. 10월)에 완공되고, 최소한 1년 이상 사용 중인 건축물
– 부속건물, 신축건물, 광장, 다리 등 신규 건축물이 해당
□ 주요심사기준 (첨부 전체규정 참조)
○ 문화유산 보존 분야
– 보존사업을 통해 해당 장소의 정신을 전달하는 건축물의 가치를 명확히 표현
– 건축물의 적절한 사용 및 활용
– 건축물의 중요성 해석 시 보존/복원작업의 기술적 문제에 대한 이해
– 자재 사용의 적합성
– 새로운 추가요소 또는 창의적 기술이 건축물의 특성과 고유한 장소성을 얼마나 존중했는지 여부
– 사업과정 및 최종산출물이 주변 환경 및 지역사회의 역사문화적 연속성에 기여
– 보존사업이 지방, 국가, 지역, 국제적 보존사업 및 정책에 미친 영향
– 사업의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 적실성과 향후 사용관리방안
○ 현대건축 분야
– 특정한 역사적 맥락을 혁신적으로 재해석한 비판적 사고가 잘 드러나는 탁월한 디자인 개념
– 새 건축물이 그 장소의 역사적, 건축학적, 문화적, 사회적 중요성 등 제반 가치가 어떻게 잘 드러나도록 지원하고 있는지 여부
– 새 건축물의 프로그램/기능의 일치성 및 적절성
– 새 건축물이 기존 건축물 및 자연 조건과 얼마나 잘 조화를 이루는지 여부
– 자재와 건축기술의 선택사유 및 품질관리 적합성
– 해당사업이 지방, 국가, 지역, 국제적 건축 관행 및 디자인 정책에 미친 영향
□ 2011년도 수상 제출기한 및 수상자 발표
○ 제출 : 2011. 3. 31 / 발표 : 2011. 9월
○ 수상자에게는 상장 및 동판 수여
□ 신청서류
○ 신청서(영문)
○ 도면 : A4 크기로 축소
1) 국가, 도시, 마을에서 건축물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2) 복원 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단지계획, 평면도, 단면도, (선택)입면도
○ 사진 : 5“ x 7″ 크기 고해상도 사진 최소 20장
○ 보존 및 복원사업 설명서(영문) : A4 6-8쪽
○ 거주자 의견서 및 소유자 동의서
○ 기타 CD-ROMs, 비디오, 슬라이드 등 관련 자료.
※ 제출한 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 문의 및 참조
○ 문의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커뮤니케이션팀
전화 02-6958-4129 / 이메일 : culture@unesco.or.kr
※ 지원 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협의 요망
○ 참조 :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http://www.unescobkk.org/culture/heritageawards
□ 첨부
▪ 신청서 양식
1. 신청서(Entry Form)
2. 사업설명서-문화유산보존분야(Project Description)
3. 사업설명서-혁신심사위원상(Project Description)
4. 거주자 의견서(Occupant Commen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