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서울국제창의예술교육 심포지엄
Seoul International Symposium for Arts in education and Creativity: SISAC 2011
상상력과 창의력은 21세기 지식 사회의 경쟁력 중 놓치고 갈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기에 이제 상상력과 창의력을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에 대한 물음 또한 우리가 지속적으로 연구하여야 할 과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오는 8월 12일 개최하는 서울 국제창의예술교육 심포지엄(Seoul International Symposium for Arts in education and Creativity: SISAC 2011)은 “예술교육으로 창의교육을 이끌다”라는 주제로 창의적 예술교육의 철학적, 정책적 접근과 이해뿐만 아니라, 현장의 소리에 뿌리를 둔 새로운 예술교육의 미래를 논해보는 자리입니다.
교육과 예술교육, 창의성의 관계 및 방향성을 조망하고, 국내외 다양한 창의적 예술교육 사례를 공유하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교육과 미래에 관심을 가진 모든 행정가 및 실천가들이 실질적인 물음과 과제를 함께 나누는 네트워크의 장이 될 것을 소망합니다.
그 실천과 소통의 장에 여러분 모두를 초대합니다.
2011년 7월
재단법인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1. 심포지엄 개요
○ 사업명: 2011 서울국제창의예술교육 심포지엄(Seoul International Symposium for Arts in Education and Creativity)
○ 주 제: 예술교육과 창의성으로 교육의 변화를 이끌다 “Leading Change in Education through AIE and Creativity”
○ 일 시: 2011. 08. 12 (금) 09:30 ~ 17:00
○ 장 소: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
○ 주 최: 서울문화재단
○ 후 원: 서울특별시,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서울특별시교육청,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목 적
창의예술교육의 철학적, 정책적 접근과 이해
교육과 예술교육, 그리고 창의성과의 관계 및 방향성 조망
국내외 다양한 창의예술교육 사례 공유
예술교육 행정가 및 실천가들간의 실질적 네트워크 제공
2. 프로그램
구 분 | 시 간 | 발표 제목 | 연 사 | 주요 내용 |
환영사 / 축사 9:30 ~ 10:00 | ||||
1부 : 교육과 예술교육, 그리고 창의성 / 사회 곽덕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
기조발제 | 10:00~10:30(30분) | 세계시민과창의성 | 데이비드 한센 David Hansen미국 콜롬비아 사범대학 교수(교육철학)/죤듀이학회 회장 역임/교육철학학회 북미지역 회장 | 코스모폴리탄 시대, 교육에서 창의성의 역할과 중요성 |
휴식(15분) Coffee Break | ||||
주제발표1 | 10:45~11:15(30분) | 창의성 구현,이론에서 실제로 | 폴 콜라드 Paul Collard영국 CCE(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 의장/Creative Partnership, Find YourTalent 프로젝트 운영 책임 | 학교개혁을 위한 예술교육, 창의교육 정책 및 실천 현황 |
주제발표2 | 11:15~11:35(20분) | 창의성 교육의도전과 과제 | 문용린 Yonglin Moon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한국교육학회 회장/제40대 교육부장관 | 창의인재 육성이라는 현 교육 정책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창의성의 본질적 계발을 위한 예술교육의 역할과 통섭방안 제안 |
휴식(10분) | ||||
토론 / 11:45~12:30 (45분) | ||||
2부 : 창의적 예술교육을 통한 교육과 사회 변화 / 사회 이선철 (감자꽃스튜디오 대표이사, 숙명여자대학교 겸임교수) | ||||
기조발제 | 13:30~14:00(30분) | LTTA, 캐나다의 삶과 지역을 바꾸는 예술교육 프로그램 | 앤 패터슨 Ann Patteson캐나다 왕립음악학교(RCM) LTTA(Learning Through The Arts)프로그램연구개발디렉터/예술교육학 박사, RCM 학술 연구조직 대표/ Queens’ University교육학부 부교수/ 현직 음악가 | 예술을 통한 다양한 교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전국 규모의 교육파트너십 시스템 구축 현황 |
질의응답(10분) | ||||
사례발표 | 14:10~1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