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SD, 2005-2014)’을 마무리하는 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그간 추진되어 온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정책 및 활동에 대한 지역적 · 국가적 · 국제적 차원의 평가 · 모니터링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ESD의 결산을 위해 2014년 일본 나고야에서 개최되는, ESD 세계회의(World Conference on ESD)에서 발표 · 논의 될 전 세계 ESD 추진 현황 및 성과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ESD의 평가 ·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indicator)의 개발이 절실하다.
그러나 ESD 개념의 광범위성과 불명확성, 대중의 관심 및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기실은 지표 개발 작업이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또한 ‘지역적 연관성(local relevance)’과 ‘문화적 적합성(cultural appropriateness)’이라는 ESD의 실행 전략에 기반한, 지역적 · 국가적 · 국제적 차원의 평가 · 모니터링 지표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지표의 견본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활용 가능한 통합적 · 포괄적 지표가 우선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유네스코는 회원국 별로 자국의 ESD 정책을 평가 · 모니터링하는 데 응용하는 동시에, ESD의 4가지 핵심 목표 가운데 하나인 ‘기존 교육 프로그램의 재정향’에 주력하도록 지원하고자 2010년에 『지속가능발전교육 렌즈: 정책 및 실행 평가도구』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ns: A Policy and Practice Review Tool)를 발간한 바 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국내 ESD 이해관계자들이 범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DESD 마무리 작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그간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온 한국의 다양한 ESD 정책 및 활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 책의 한국어판을 발간했다. ▲ ‘ESD 렌즈’ 평가 계획 및 준비, ▲ ‘ESD 렌즈’를 활용한 국가 정책 평가, ▲‘ESD 렌즈’를 활용한 질적 학습 결과 평가, ▲‘ESD 렌즈’를 활용한 실행 평가, ▲‘ESD 렌즈’ 실천 계획자 등 5개의 모듈로 구성된 『ESD 렌즈』는 ESD 평가 · 모니터링 작업에 있어 기초적이고 유용한 13가지 평가도구들을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상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이 책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자료센터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교육팀 오혜재 hjoh@un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