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한일교사대화는 2000년 당시 문용린 교육부 장관과 나카소네 히로후미 일본 문부과학성 대신이 한일 양국의 우호 증진을 위해 교사 교류를 약속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 한일 교사 간 대화와 현장방문을 통해 양국의 교육현안을 이해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국제이해교육(EIU)을 기반으로 하는 유네스코 교육 이념을 확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이 사업은 양국 교육부의 지원하에 유엔대학, 유네스코아시아문화센터,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일본은 2001년 한국 교사 50명을 초청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2003년 100명, 2007년 160명으로 초청 인원을 늘렸고 2009년부터는 150명을 초청하여 올해까지 한국교직원 1,551명이 방일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한국은 2005년부터 일본 교사 20명을 초청했고 2008년에 54명으로 초청 인원을 확대, 현재까지 일본교직원 342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정소여 syjung@unesco.or.kr |
1월 16일-27일, 150여명의 한국교사들과 함께 한국교직원 일본초청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2001년부터 열 세 번째인 이번 방일단은 다섯 개 그룹으로 나누어 치바현 야치요시,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 이시카와현 고마츠시, 치바현, 그리고 후쿠오카현의 초, 중, 고등학교와 교육청 등을 방문했다. 그동안 자료로 접하던 일본의 학교교육을 보다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먼저, 이런 기회를 마련해주신 한국과 일본의 국내유네스코위원회, 일본의유네스코아시아문화센터(ACCU)와 유엔대학(UNU) 관계자 여러분께 참가자를 대표해서 감사드린다.
훌륭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각 그룹에서 수고하신 유네스코 직원 여러분의 노고에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국제이해교육(EIU)의 취지아래 진행된 프로그램답게 참가자들은 ESD와 EIU의 의미와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일본의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후속 세대까지 고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환경과 생명의 중요성을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선생님들은 좋은 기초생활습관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일본의 학교와 좋은 교육을 위해 적극적으로 관심과 지원을 보이는 일본의 가정과 사회에 대해 새로운 이해를 가질 수 있었다. 반면에, 교과목 중심의 교육에 치중하고 있는 우리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좋은 교육을 위해 헌신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 가정과 사회의 문제들이 잘 드러나 보이는 것을 느꼈다.
필자가 속한 B 그룹은 인구 6만명 정도의 작은 도시인 하시모토시의 교육청과 초, 중, 고등학교, 그리고 가정을 방문했다. 또한, 일본의 고대 불교문화를 잘 간직하여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야산 일대를 탐방했다. 학교를 방문하면서 우리 학교와 대체로 비슷하지만 인상적인 것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1학년도 급식을 자율적으로 받아 오고, 나누어 주고, 재활용을 위한 뒷정리까지 스스로 하는 모습은 너무 보기 좋았다. 학생의‘자치와 자유’를 소중히 생각하여 학생이 학교를 소개하도록 하는 고등학교도 보았다. 교실수업을 복도에서 볼 수 있도록 키높이의 유리는 투명한 것으로 하였고, 방글라데시와 티베트같은 개도국에서 해외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졸업생들의 활동 사진과 설명이 복도에 게시되어 있는 것을 보고“정말 좋은 교육을 하고 있구나”하는 느낌을 받았다.
가정의 내부장식이나 학교시설 등을 통해 근검절약의 정신과 전통적인 것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전체 프로그램을 통해 정해진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철저히 지키려고 하는 모습에서“일본은 과연 선진국이구나”하는 느낌을 받았다. 오사카의 간사이국제공항이 출발시간을 잘 지키는 부문에서 항상 세계 1위라는 평가를 받는 것이 잘 이해되었다. 현재 우리 학교가 몸살을 앓고 있는 학교폭력문제를 일본에서는 약 25년전에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경험하였다고 한다. 당시 하시모토시에서는 학교는 물론 가정과 지역사회가 일치단결하여 지역의 청소년교육을 엄격하게 하고, 모금을 하여 학교를 도와주어 폭력문제를 해결하였다고 한다. 우리도 학교와 가정, 그리고 사회가 함께 노력하면 학교폭력문제를 반드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이번 방일 프로그램에 참가한 교사들은 대부분 한일간 불미스러운 과거를 잘 넘어서기 위해 서로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에 매몰되지 않고, 일본은 우리와 함께 손잡고 국제사회에 나아가야 할 매우 가깝고 소중한 이웃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느꼈다. 방문을 마무리하는 자리에서 나온 참가자의 소감 중에“하나의 사과 속의 씨앗은 셀 수 있지만 하나의 씨앗이 몇 개의 사과를 맺을지는 알 수 없듯이 한 개인의 가능성은 무한하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교육의 중요성을 잘 표현한 이야기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와 같은 교사교류 프로그램은 물론 학생교류 프로그램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잘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