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 공개강연 참가자 모집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8월 8일부터 12일까지 국내외 청년 60여명이 참가하는 가운데 “동아시아 배타적 민족주의 극복을 위한 역사인식: 교류사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제5회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을 개최합니다. 인접국간 역사 인식의 차이로 아시아 지역 내 긴장과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의 주역인 청년들이 역사대화를 통한 아시아, 나아가 세계의 평화에 대해 논의하는 이번 포럼의 공개강연(8.9)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포럼명: 제5회 유네스코 동아시아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 (5th International Youth Forum on Historical Reconciliation)
□ 본 포럼 (전문가 강연)
– 일시: 2016년 8월 9일 (화) 09:30 – 18:00
– 장소: 한양대학교 HIT(한양종합기술연구원)
– 참가자: 국내외 청년, 대학(원)생, 활동가 등
– 주 제: 동아시아 배타적 민족주의 극복을 위한 역사인식: 교류사를 중심으로
– 사용 언어: 한국어, 영어(동시통역 제공)
□ 본 포럼 프로그램 (전문가 강연)
일시 | 순서 | 주요내용 | |
8. 9(화) | 9:30-10:00 | 등록 | 일반참가자 등록 |
10:00-10:30 | 개회식 | 개 회 사: 민동석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환 영 사: 이영무 (한양대학교 총장) | |
10:30-12:00 | 기조강연 | 백영서(연세대학교 교수)-공감과 비평의 역사학: 동아시아의 역사화해를 위한 제언 | |
13:30-14:40 | 강연 1 | 왕원주(북경대학교 교수)-중화질서와 동아시아의 국제교류: 이상, 사실과 상상 | |
15:00-16:10 | 강연 2 | 안자코 유카(리츠메이칸대학교 교수)-아픈 과거를 어떻게 기억하고 공유할 것인가?- 한일간의 역사인식 갈등 문제를 중심으로 | |
16:30-17:40 | 강연 3 | 윤해동(한양대학교 교수)-동아시아와 동아시아 ‘정체성 만들기’ |
□ 방청 신청
○ 성명, 연락처(휴대전화번호, 전자우편 주소), 직업(소속) 또는 학교(학과), 신청동기 등을 적어서 8월 1일(월)까지 history@unesco.or.kr로 신청
○ 기타사항
– 참가비 없음 (사전접수자에 한해 중식 및 기념품 제공)
– 참가에 대한 확인서 또는 인증서는 발급하지 않음.
○ 문의처 : 제5회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 사무국
– 전화 : 02-6958-4274, 02-6958-4281
– 전자우편 : history@un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