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
한국인 참가자 모집
인접국간 역사 인식의 차이로 아시아 지역 내 긴장과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각국의 국내 정치에서 긴장과 갈등은 증폭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역사대화를 통해 갈등의 역사를 공동의 역사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 ‘제4회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이 열립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1997년 유네스코독일위원회와 공동 주최한 ‘21세기 역사교과서 국제포럼’을 시작으로, 2007년부터 5년 동안 역사화해 전문가 국제포럼을 열어 과거사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찾고자 했습니다. 이어 2012-2014년에는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을 개최하여 역사화해에 대한 청년·대학생의 관심과 참여를 촉진하면서 지금까지 동아시아에서의 역사화해 관련 논의를 주도해 왔습니다.
올해는 국가 간 상호작용, 상호 교류, 협력의 역사에 대한 공감대 위에서 국민국가 중심의 역사인식 극복 방안과 청년의 역할을 논의하기 위해 ‘제4회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을 개최합니다. 역사대화를 통한 평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이 포럼에 청년, 대학(원)생, 활동가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1. 포럼 개요
□ 포럼명: 제4회 유네스코 동아시아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
(4th International Youth Forum on Historical Reconciliation)
□ 포럼 구성
가. 한국인 참가자 준비 워크숍
– 일시: 2015년 7월 17일(금) 11:00~18:00
– 장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1층 회의실(유네스코 홀)
– 참가자: 청년, 대학생, 활동가 20여명(포럼 참가자로 선발된 국내 거주 한국인), 국내 초중고 관련 교과 교사
5-10여명, 전문가 등
– 내 용: 포럼 안내, 강연, 토의
– 사용 언어: 한국어
나. 본 포럼(제4회 유네스코 청년역사대화 국제포럼)
– 기간: 2015년 8월 9일(일)~13일(목)(4박 5일)
– 장소: 숙명여대 등
– 참가자: 국내외 청년, 대학(원)생, 활동가 등 50여명(한국인 참가자 20명/외국인 참가자 30명)
– 주 제: 역사교과서와 기억의 공유: 제2차 세계대전과 종전 70년
– 세부주제
· 각국 역사교과서의 관련 내용 기술내용
· 각국 역사교과서 편찬 및 발간 구조
· 공동 역사교과서와 기억의 공유를 위한 청년의 역할
– 사용 언어
· 개회식, 강연, 회고와 증언: 한국어, 영어(개회식 일정은 동시통역 제공)
· 오리엔테이션, 전시회, 현장방문, 조별 토의, 발표: 영어
– 주요 내용: 전문가 강연, 회고와 증언, 토의 및 발표, 현장 방문, 전시/캠페인 등
가. 전문가 강연 및 회고와 증언○ 일시 : 2015년 8월 10일(월) 10:00-16:00(4회)○ 장소 : 숙명여자대학교 삼성컨벤션센터○ 강연자 및 강연 주제 : 주제 관련 국내외 전문가 4명 내외 가. 해외 강연자/역사교과서를 통한 역사화해나. 정재정(서울시립대 국사학과)/역사, 청년, 평화 다. 이삼성(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전후 세계질서: 대립과 긴장 그리고 평화라. 신윤순(사할린 강제동원 희생자 유족 대표)/회고와 증언○ 참가자 : 국내외 청년·대학생 50명, 워크숍 참가 교사 등 초중고 교사 10여명, 일반인 50여명○ 주요내용 : 강연 및 청중 질의/응답 나. 주제 토의 및 발표○ 기간 : 2015년 8월 11일(화), 8월 12일(수)-13일(목)○ 장소 : 숙명여자대학교○ 참가자 : 세부주제별 12-13명 참석○ 세부 주제- 각국 역사교과서의 관련 내용 기술내용- 각국 역사교과서 편찬 및 발간 구조- 공동 역사교과서와 기억의 공유를 위한 청년의 역할 다. 역사현장방문○ 일시 : 2015년 8월 11일(화) 09:00-14:00○ 주요내용 : 국내 역사현장방문을 통해 참가자간의 대화, 교류 강화 라. 각국 교과서 전시/캠페인○ 일시 : 2015년 8월 12일(수) 09:00-16:00○ 주요내용 :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각국 역사교과서 전시 부스 운영 및 캠페인을 통한 역사이해 관점 공유 |
2. 모집 개요
□ 지원 자격: 만 18-30세 한국 국적의 청년, 대학(원)생, 활동가
※ 지원자의 현재 거주 국가 불문
※ 준비 워크숍과 본 포럼 모두 참가해야 함.
□ 모집 인원: 20명 내외
3. 모집 방법
□ 평가기준(주제 이해도 및 관심도와 열정, 관련활동 경험, 영어구사 능력 등)에 따라 서류심사 및 면접심사를 거쳐
점수 순으로 선발
※ 제출 서류(참가지원서, 증빙자료)가 허위로 판명될 경우 합격자 선정을 취소할 수 있음.
4. 모집 절차
□ 지원서 접수
◦ 지원서 제출 기간: 2015년 6월 5일(금) ~ 6월 21일(일)
◦ 지원서 제출 방법
– 지정된 양식의 참가지원서를 이메일에 첨부하여 제출
– 전자우편 제목: ‘지원자 이름’_청년역사대화포럼 지원
– 첨부파일명: ‘지원자 이름’(포럼명) [예: 홍길동(청년역사대화포럼)]
– 보낼 곳: history@unesco.or.kr
– 접수 확인: 요건을 갖춘 지원서에 대해 접수 확인 메일 발송
※ 확인메일을 받지 못하는 경우 전화나 전자우편으로 문의 바랍니다.
□ 서류심사 합격자 통지: 2015년 6월 23일(화) 18시 (개별 통지)
□ 면접심사: 2015년 6월 29일(월)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면접심사 대상자는 면접 일에 재학증명서 등 증빙서류 제출해야 함.
※ 제출한 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 최종 선발자 발표: 2015년 7월 1일(수) 18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게시)
※ 위 일정은 사정에 따라 약간 조정될 수 있음.
※ 국내 참가자 워크숍 등 포럼 전 일정에 빠짐없이 참가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 지원 가능.
5. 포상
□ 활동우수자 약간 명에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상 등 시상 및 연수인턴 기회 부여
6. 문의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과학팀
– 전화 | 02-6958-4274, 4138
– 전자우편 | history@unesco.or.kr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www.unesco.or.kr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