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금) 오전 10시 /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민동석)는 여성가족부, 문화재청과 공동으로 18일(금)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위안부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업은 위안부 피해실상에 관한 문헌·자료를 집대성하여 이를 세계인들에게 제대로 알리고 여성, 어린이 등 약자를 겨냥한 참혹한 성범죄가 더 이상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 세계 미래세대에게 알리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사업의 목적과 의의’(서경호 서울대 교수)와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사적 의미와 가치’(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를 내용으로 주제발표하고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 전략’을 주제로 한 지정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서경호 서울대 교수는 “위안부 관련 기록물은 인류 문명의 오점인 동시에 보편적인 인간성이 침해된 경험의 증언이라는 점에서 세계적인 중요성을 충족하고 있지만 산재한 기록물의 체계화 등 철저한 준비과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위안부 기록물을 크게 △범죄 행위 △피해 사실 △해결을 위한 노력 등으로 분류한 뒤, 구체적인 피해자 기록(증언, 피해자 작품 등)과 일상·유품, 가해자 기록, 수요집회 등 해결을 위한 노력 등이 모두 세계사적 의미와 가치를 갖는 기록물이 될 수 있다고 발표한다.
이어 허권 세계유산도시기구 아태지역 사무총장이 진행하는 지정토론에서는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 전략’을 주제로 이강수 국가기록원 연구관, 박한용 고려대 연구원,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 홍세현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추진기획단장 등이 추진 전략을 발표하게 된다.
지정토론자로 참여한 홍세현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추진기획단장은 등재를 위해 사전에 준비해야 할 사안을 설명하고, 보존 및 관리, 관련 기록물의 해석과 연구 작업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민동석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사업이 인류보편적 가치인 전시(戰時) 여성인권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인류 모두가 아픈 역사를 소중한 교훈으로 기억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여성가족부, 문화재청과 지난 4월 ‘위안부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함께 협력해 왔으며, 올 7월초 관련 기관·단체 및 전문가들로 구성된 추진위원회와 실무추진단을 통해 오는 2017년 등재를 목표로 등재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사업은 세계적인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그 유산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과거 인류의 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으로 등재 심사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세계적 중요성(World Significance)’ 항목이다.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면 소장자나 관리 책임자는 그 문건을 손상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해당 유산을 대중에게 공개할 의무를 지게 되며, 현재 우리나라는 훈민정음 해례본 등 모두 11건의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