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총회 분야별 하이라이트: 문화]
문화분야에서 가장 큰 이슈는 박물관과 관련된 유네스코 국제표준규범을 새롭게 제정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회원국들은 기존 협약을 서로 보완해 줄 수 있는 국제표준규범 제정이 필요하며 이 규범을 토대로 박물관 분야에서 역량 강화, 문화간 대화, 박물관 보호 및 증진에 관한 정책 입안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규범제정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다만, 미국을 비롯한 서유럽국가들은 추가 재원이 요구되는 새로운 규범 제정 대신 이미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등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외부 기관이 박물관 보호, 역량강화를 하기 위한 관련 연구를 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물론 1970년 문화재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 금지와 예방수단에 관한 협약 등 기존 규범과의 중복과 유네스코가 직면하고 있는 재정위기가 주요 반대 이유였다.
이에 대해 유네스코 사무국은 문화재 보호 및 박물관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존 협약만으로는 박물관과 수집품의 보호와 증진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결국, 장시간의 논의 끝에 회원국들은 유네스코 사무국이 국제박물관협의회와 긴밀히 논의하여 비구속적(non-binding) 성격의 규범안, 즉 권고안 초안을 2년후에 개최되는 다음 총회에 제출하도록 결정했다.
이 의제를 두고 둘러싼 논쟁은 박물관이 불법문화재 거래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에 기인한다. 불법문화재거래가 심각한 중남미국가들을 중심으로 이를 규범화하려는 입장이 미국 및 서유럽 국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차기 총회에 비구속적이긴 하지만 권고문 형태의 규범 초안을 제출하도록 결정했다는 점에서 중남미국가들이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
관련기사
[유네스코총회 분야별 하이라이트]
– [정보커뮤니케이션] 인터넷 이슈관련 국제규범화 사실상 무산
– [과학] 지질공원, 유네스코 공식 사업은 언제쯤?
– [교육] 2015년, 새로운 미래교육의제의 교두보